동맥경화 억제 면역세포 찾았다

동맥경화 억제 면역세포 찾았다

입력 2011-11-11 00:00
업데이트 2011-11-11 00: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오구택·재훈 교수팀

이미지 확대
국내 연구진이 포함된 다국적 연구팀이 동맥경화를 억제하는 면역세포를 찾아냈다. 올해 노벨상 수상자로 결정되기 직전 사망한 미국의 랠프 스타인먼 교수팀과 함께 진행한 연구여서 더욱 주목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오구택 이화여대 교수, 최재훈 한양대 교수가 미 록펠러대 스타인먼 교수와 함께 ‘Flt 의존성 수지상세포’가 동맥경화의 진행을 늦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10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이뮤니티’ 최신호에 게재됐다.

나뭇가지 모양인 수지상 세포는 인체에 바이러스나 병원균이 침입하거나 종양 등 비정상 세포가 발생했을 때 이를 잡아먹고 분해할 뿐 아니라 임파절의 T세포 등 2차 면역체계에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핵심 면역세포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스타인먼 교수가 1973년 생쥐의 면역장기에서 이 세포를 처음 발견한 공로로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선정되기도 했다.

오 교수와 최 교수는 스타인먼 교수 및 록펠러대 정철호 박사와 함께 ‘Flt3’ 단백질을 받아들여 결합하는 ‘Flt3 의존성 수지상세포’의 역할을 중점적으로 연구했다. 그 결과 유전자 조작을 통해 Flt3 유전자가 결핍된 쥐의 혈관에는 Flt3 의존성 수지상세포 역시 부족하며 이들 쥐에서는 동맥경화가 더 빨리 진행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오 교수는 “추가 연구를 통해 Flt3 의존성 수지상세포를 활용한 동맥경화 치료제 개발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2011-11-11 29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