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인이 입을 수 있는 모시옷 만들것”

“세계인이 입을 수 있는 모시옷 만들것”

입력 2011-11-29 00:00
업데이트 2011-11-29 00: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산모시 무형문화재 방연옥씨

“국적에 상관없이 누구나 입을 수 있는 모시옷을 만들고 싶습니다.”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에 등재된 한산모시짜기 보유자 방연옥(66·중요무형문화재 제14호)씨는 28일 “모시는 다른 나라에도 있지만 한산세모시의 질이 으뜸”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30여년 전부터 모시짜기를 했다는 방씨는 요즘도 충남 서천군 한산면 지현리 한산모시관에서 하루 5∼6시간씩 모시를 짜고 있다.

이미지 확대
한산모시 무형문화재 방연옥씨 연합뉴스
한산모시 무형문화재 방연옥씨
연합뉴스
방씨는 “모시는 통풍성이 좋고 빨아 입을수록 윤기가 흘러 더 고급스러운 맵시가 난다. 가장 가느다란 세모시는 ‘잠자리 날개’같이 가볍다.”면서 모시째기를 할 때 입술이 부르트고 피나 가 밥을 못 먹던 기억을 떠올렸다. 나중에는 입술에 굳은살이 박일 정도라고 했다. 모시의 품질은 입술로 찢어 모시섬유를 만드는 ‘모시째기’ 숙련도에 따라 품질이 좌우된다. 풀의 속껍질에서 실(태모시)을 짜내는 모시는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지 않으면 실이 뚝뚝 끊어진다.

이런 어려운 과정 때문에 배우려고 하는 사람이 점점 줄어든다고 안타까워했다. 방씨는 “이제 세계인의 전통이 된 만큼 기술을 배우는 후학이 더 많아졌으면 좋겠다. 내 막내 딸도 10년 전부터 ‘이수자’로 기술을 배우고 있다.”면서 “대대로 한산모시짜기의 명맥을 이어나가는 게 내 작은 소망이자 의무”라고 말했다.

서천 이천열기자 sky@seoul.co.kr

2011-11-29 1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