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입 연합고사와 ‘학력향상’ 연관성 있나

고입 연합고사와 ‘학력향상’ 연관성 있나

입력 2011-11-29 00:00
업데이트 2011-11-29 11: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남교육청 “연합고사 폐지 학력저하”..반대 측 “인과관계 없다”

“고입 연합고사를 도입하면 중고생들의 학력이 올라간다.”

”아니다. 연합고사 실시와 학력향상은 아무런 관계가 없다.”

경남 교육계가 2002년 폐지된 고입 연합고사(선발고사) 부활을 둘러싼 논란에 휩싸여 있다.

학력향상을 위해 연합고사 부활이 꼭 필요하다는 교육청과 학력향상과 연합고사는 인과관계가 없다는 반대 측의 입장이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양 측이 다양한 찬반 근거를 쏟아내고 있지만 가장 핵심은 고입 연합고사가 전국 하위권을 맴돌고 있는 경남 중ㆍ고교생들의 학력과 수능성적을 높일 수 있는지에 모아진다.

29일 경남도교육청에 따르면 전국 16개 시ㆍ도 가운데 고입 선발고사를 치르지 않은 곳은 경남,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등 7곳으로 도(道)단위로는 경남이 유일하다.

나머지 8개 도와 울산광역시는 고입 선발시험만으로 신입생을 뽑거나, 내신성적과 선발시험을 합산해 뽑는다.

경남교육청은 2002년 고입 연합고사가 폐지된 뒤 중ㆍ고교생들의 학력이 저하되기 시작했다고 주장한다.

즉, 내신성적만으로 학생을 선발하면서 종합적 사고력이 필요한 수능에 제대로 대비하지 못하게 됐고, 이는 학력의 하향평준화로 이어졌다는 설명이다.

도교육청은 2002학년도 고입전형때 선발고사 없이 내신성적만으로 진학한 경남 중학생들이 수능에 응시한 2005학년도부터 수능성적이 계속 낮아졌다는데 주목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공개한 수능 1~4등급 비율 순위에서 경남학생들은 2005학년도 8위, 2006학년도 7위, 2007학년도 11위, 2008학년도 14위 2009년ㆍ2010학년도 14위, 2011학년도 13위 등 하위권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2009~2010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도 경남 고교생들은 전국 16개 시ㆍ도 가운데 14위와 12위에 머물렀다.

경남도교육청은 이같은 통계를 근거로 연합고사를 부활해 고입 전형방법을 바꿔야 학생들의 학력을 신장시킬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고 주장했다.

찬성 측 학부모들 역시 고입 연합고사 도입이 자녀들의 학업성취도, 수능성적을 올려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영미(창원 삼정자초등교 6학년 학부모)씨는 최근 열린 공청회에서 “고입 연합고사가 전국 최하위권인 경남 학생들의 학력 향상을 위한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반면, 21개 단체로 구성된 ‘고입연합고사 저지를 위한 경남대책위’는 고입 연합고사를 통해 학력이 향상됐다는 명확한 근거를 찾기가 어려운데도 “일단 하고 보자”며 도교육청이 의견수렴 없이 연합고사를 강행하려 한다고 지적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공개한 2011 수능 시ㆍ도별 1등급 비율을 보면 서울, 광주, 대구, 부산, 경남, 인천 등 내신성적만으로 학생을 뽑는 7개 시ㆍ도의 평균순위는 7.9위로 고입 선발고사를 치르는 9개 시ㆍ도의 9위보다 높았다는 것이다.

2011 수능 시ㆍ도별 표준점수를 봐도 내신만으로 학생을 선발하는 7개 시ㆍ도의 평균순위(8위)가 고입 선발고사로 학생을 뽑는 9개 시도(8.9위)보다 더 좋았다고 대책위는 밝혔다.

특히, 고입 선발고사로만 100% 학생을 뽑는 울산광역시를 보면 2011학년도 수능에서 표준점수 순위는 8위, 1등급 비율은 꼴찌수준인 15위에 머물렀다고 대책위는 강조했다.

2010학년도 고등학교 학업성취도 평가에서도 7개 내신 시ㆍ도의 평균순위는 7위로, 선발 9개 시ㆍ도의 9.7위보다 더 좋았다는 점을 연합고사 부활반대의 근거로 내세웠다.

김동국 전교조 경남지부 정책실장은 “수능통계를 통해 고입 선발고사와 성적향상 사이에 관련이 전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성적 향상의 기본은 시험이 아니라 학생과 교사가 얼마나 자발적으로 수업에 임하는지가 훨씬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공청회와 지역별 설명회를 마친 경남교육청은 내년 2월 고입전형심의위원회를 통해 연합고사 부활여부를 결정하겠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는 반면 경남대책위는 도교육청이 연합고사 부활을 포기할 때까지 천막농성을 하고 시민서명운동을 통해 반대여론을 확산시킨다는 방침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