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교의 향기 널리 퍼지는 계기됐으면”

“유교의 향기 널리 퍼지는 계기됐으면”

입력 2012-03-07 00:00
업데이트 2012-03-07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공자·맹자 종손 안동 방문… 도산서원 춘계향사 참석

동양의 대표적 성현으로 추앙받는 공자와 맹자의 후손들이 퇴계 이황을 기리는 춘계향사(春季享祀)에 참석하기 위해 6일 인천공항을 통해 입국했다. 9일까지 4일간의 일정으로 퇴계의 고향 경북 안동을 방문한다.

안동시와 퇴계 선생 학술연구 모임인 사단법인 박약회(회장 이용태)가 초청한 방문단은 타이완 타이베이에 사는 공자의 79대 종손 쿵추이창(37·타이완 대통령 국책고문) 부부, 맹자의 76대 종손 멍링지(34) 등 16명. 공자와 맹자의 후손들은 장제스가 공산당에 패하면서 타이완으로 피신할 때 함께 간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지 확대
공자의 79대 종손 쿵추이창(왼쪽) 부부와 맹자의 76대 종손 멍링지(왼쪽 세 번째) 부부가 6일 인천공항을 통해 입국한 뒤 포즈를 취하고 있다. 안동시 제공
공자의 79대 종손 쿵추이창(왼쪽) 부부와 맹자의 76대 종손 멍링지(왼쪽 세 번째) 부부가 6일 인천공항을 통해 입국한 뒤 포즈를 취하고 있다.
안동시 제공
●퇴계의 학문과 삶 살펴볼 예정

이들은 7일 오전 11시 안동 도산면 토계리 도산서원 상덕사에서 전국 유림 대표자들이 모여서 여는 춘계향사례에 참석한 뒤 한국국학진흥원과 도산서원 선비문화수련원을 찾아 퇴계의 학문과 삶을 살펴볼 예정이다. 공자와 맹자의 후손이 향사례에 참석한 것은 1574년(선조 7년) 도산서원이 세워진 뒤 처음이다.

이어 퇴계 종택을 방문하고 인근의 퇴계 묘소를 참배한다. 선비문화수련원에서 안동대 한문학과 학생 20명을 대상으로 특강한다.

8일에는 중국에서는 전해지지 않는 ‘불천위’(不遷位)를 모신 풍산 류씨, 의성 김씨, 안동 김씨 등 21개 종가의 종손과 유림 대표 40여명을 만나 유교문화 발전 방향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한다. 불천위는 국가에 큰 공을 세웠거나 도덕성과 학문이 높은 조상들의 제사를 해마다 사당에서 지내는 것을 말한다.

●“경건한 제례의식과 마음 배우고 싶어”

공자 후손의 안동 방문은 1980년 77대 종손 쿵더청 박사 이후 두 번째다. 쿵 박사는 퇴계 선생 기일(음력 12월 8일)에 도산서원를 찾아 상덕사에 참배했다.

쿵추이창은 “30여년 전에 조부가 다녀간 전통학풍이 살아 숨쉬는 안동을 다시 찾게 돼 큰 영광으로 생각한다.”면서 “앞으로 안동시와 박약회와 함께 현대인에게 공자의 예와 인의 사상을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했고, 멍링지는 “도산서원의 장엄한 춘향사에 참가하게 돼 무척 흥분된다. 경건한 제례의식과 마음을 배우고 싶다.”고 말했다.

퇴계의 16대 종손인 이근필(81) 옹은 “유교의 상징인 공자·맹자의 후손이 할아버지(퇴계)의 고향을 찾는 것은 의미가 특별하다.”며 “한국인의 삶 속에 살아 숨쉬는 유교의 향기가 널리 퍼질 수 있도록 환대하겠다.”고 말했다.

안동 김상화기자 shkim@seoul.co.kr

2012-03-07 27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