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로켓 ‘대신기전’ 개발자 밝혀졌다

조선로켓 ‘대신기전’ 개발자 밝혀졌다

입력 2012-03-15 00:00
업데이트 2012-03-15 00: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항공우주硏 채연석박사 “세종때 과학자 박강이 제작”

1448년 개발된 세계 최초의 2단형 로켓이자 세계 최대의 종이 약통 로켓화기인 ‘대신기전’(大神機箭)의 개발자가 당시 군기감정(軍器監正) 박강(朴薑·1406~1460)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채연석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박사는 세종 27년(1445년)부터 문종 1년(1451년) 사이의 조선왕조실록을 분석한 결과 대신기전 연구 개발 책임자가 군기감정을 지낸 박강인 것으로 밝혀졌다고 14일 밝혔다.

대신기전은 길이 5.6m, 무게 4~5㎏, 비행 거리 1㎞에 달하는 세계 최초 2단형 로켓으로, 그동안 개발자는 알려지지 않았다.

채 박사는 “박강은 세종 27년부터 2년 3개월 동안 군기감정을 지내면서 고려 무신 최무선이 개발해 사용해 오던 ‘주화’(走火)를 개량한 로켓화기인 ‘중주화’ ‘대주화’ 등을 연구 개발했다.”고 주장했다. 중주화는 200m, 대주화는 500m 이상을 날아가는 무기다. 군기감은 화약 무기를 개발, 생산하던 곳으로 국방과학연구소에 해당한다.

박강이 만든 중주화와 대주화는 세종 29년 가을부터 12월 초까지 여진족을 격퇴하기 위해 평안도와 함길도의 4군 6진 지역에 모두 2만 4930개가 배치됐다. 실록에는 ‘박강에게 이 중 9000개를 평안도 현지에서 직접 제작하라.’고 지시한 내용이 기록돼 있다. 박강은 이후 이조참판 등을 지낸 데다 세조 즉위에도 공을 세웠다.

박강이 개발한 중주화와 대주화가 세종 30년(1448년) 총통등록이 발간되면서 이름이 각각 중신기전, 대신기전으로 바뀌었다는 것이다.채 박사는 “로켓화기는 구조와 제작 방법이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박강과 같은 전문 기술자가 아니면 제조할 수 없었다.”면서 “앞으로 신기전 설계 자료의 유네스코 세계기록 유산 등록 등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2012-03-15 9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