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변 점거한 ‘깔따구’들 사라지니 시민들이…

강변 점거한 ‘깔따구’들 사라지니 시민들이…

입력 2012-06-05 00:00
업데이트 2012-06-0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노원구 정화사업 효과 ‘톡톡’…“편히 산책해볼까”

지난해 노원구 당현천 주변에 사는 주민들은 각종 알레르기 질환을 일으키는 작은 곤충 ‘깔따구’로 인해 큰 불편을 겪었다. 하지만 올해는 무리지어 주변을 날아다니며 주민을 괴롭히던 깔따구 수가 눈에 띄게 줄었다.

이미지 확대
눈을 치우는 제설장비인 스키드로더에 솔을 장착해 녹조를 제거하고 있는 모습. 노원구 제공
눈을 치우는 제설장비인 스키드로더에 솔을 장착해 녹조를 제거하고 있는 모습.
노원구 제공
4일 노원구에 따르면 당현천 주변 깔따구 출현이 지난해에 비해 확연히 줄어 거의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이고 주민들이 당현천을 산책하는 데 불편함을 전혀 느끼지 않는다. 이는 구에서 녹조 제거와 유용 미생물 투입, 하천 바닥 청소 등 꾸준히 당현천 관리에 노력한 결과다. 특히 직원들은 깔따구를 박멸하기 위한 각종 아이디어를 내는 등 머리를 맞댔다.

먼저 구는 깔따구 발생을 막기 위해 눈을 치우는 제설장비인 스키드로더를 개조해 깔따구 발생에 영향을 주는 녹조를 수시로 제거했다. 이 같은 아이디어는 직원들이 회의를 거친 끝에 나왔다. 겨울철 제설장비인 71마력 스키드로더 버킷(기중기 끝에 붙어 흙, 모래 따위를 퍼 올리는 통)의 날을 제거하고 그 자리에 솔을 장착해 녹조 제거 작업을 진행했다. 100명을 투입해 녹조를 제거할 경우 1개월 이상 걸렸지만 스키드로더를 사용했더니 사흘 만에 끝낼 수 있었다.

당현천은 너무 얕아 햇빛이 잘 투과되면서 수온이 올라가는 데다 비가 조금만 와도 하수에 섞인 인과 질소가 다량 유입되면서 녹조가 발생했다.

이 녹조가 썩으면서 수질이 나빠져 깔따구가 집중적으로 발생했다. 처음에는 주민과 함께 당현천 바닥 녹조를 제거하고 주변 덤풀 등을 매달 한 번씩 대청소했지만 길이가 2.65㎞나 되는 당현천을 청소하는 것은 만만한 작업이 아니었다.

유용미생물(EM)을 투입한 것도 효과를 발휘했다. 인체에 무해한 EM 발효액을 매월 10t씩 투입했으며 깔따구의 천적인 미꾸라지 7500마리도 방생했다. 그 결과 지난해에 비해 생화학적 산소 요구량(BOD) 수준이 세 배가량 떨어졌다.

김성환 구청장은 “앞으로도 당현천에 깔따구가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친환경 하천을 유지하기 위해 수질을 개선하고 쾌적한 환경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겠다.”고 말했다.

강국진기자 betulo@seoul.co.kr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