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만명 vs 5만 2000기

48만명 vs 5만 2000기

입력 2012-06-06 00:00
업데이트 2012-06-06 00: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립묘지 안장자격 유공자 비해 공간 부족… 5년내 포화

국립묘지에 안장될 수 있는 생존 국가 유공자가 48만명에 달하지만 앞으로 전국 국립묘지에 안장할 수 있는 인원은 5만 2000여기에 불과해 향후 5년 내 포화상태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국립묘지 내 안장 공간을 대폭 넓히거나 국립묘지법을 개정해 현재 규정이 없는 수목장 등 자연장을 국립묘지에서도 가능하게 하는 등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미지 확대
오늘 57회 현충일… 전우를 그리다 제57회 현충일을 하루 앞둔 5일 오후 서울 동작동 국립현충원을 찾은 한국전쟁 참전용사들이 전쟁 당시 전사한 전우의 묘비 앞에서 거수경례를 하고 있다.  박지환기자 popocar@seoul.co.kr
오늘 57회 현충일… 전우를 그리다
제57회 현충일을 하루 앞둔 5일 오후 서울 동작동 국립현충원을 찾은 한국전쟁 참전용사들이 전쟁 당시 전사한 전우의 묘비 앞에서 거수경례를 하고 있다.
박지환기자 popocar@seoul.co.kr


5일 국가보훈처에 따르면 국립묘지 안장 자격 요건을 갖춘 국가유공자 등은 올해 1월 기준으로 48만 7613명에 달한다. 이 중 75세 이상의 고령자가 23만 8181명이고 6·25전쟁 참전자의 연령은 평균 81세로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보훈처는 오는 2030년까지 이들을 포함한 안장 수요가 36만여명에 달할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대전현충원과 서울현충원을 비롯한 전국의 국립묘지 8곳에는 호국영령 17만 8000여명이 안장돼 있다. 보훈처가 공개한 국립묘지별 잔여 기수는 올해 5월 기준으로 대전현충원 7367기, 영천호국원 2만 4662기, 임실호국원 8236기, 이천호국원 1만 2626기다. 서울 동작동에 있는 서울현충원은 지난 1985년부터 일반 묘역의 안장 여력이 없으며 납골 시설만 신청을 받고 있다.

국가보훈처는 지난해부터 기존 국립묘지의 공간을 활용해 안장시설 확충을 추진하고 있다. 대전현충원 3만기를 포함해 2019년까지 모두 8만 3628기의 묘역을 추가로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턱없이 높아지는 매장 수요를 예상하면 2017년으로 예상된 포화 시기를 6~7년 늦추는 효과만 있을 뿐이다. 보훈처 관계자는 “충북 보은과 제주 등지에 호국원을 추가로 조성해 오는 2015년 개원을 추진하고 있다.”면서 “국립묘지가 혐오 시설로 여겨지는 현실에서 주민 설득 등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수목장 형태의 묘역도 고려하고 있으나 이는 18대 국회에서 폐기된 국립묘지법 개정안이 통과되어야 한다.”면서 “매장을 선호하는 우리 국민의 납골당이나 자연장에 대한 인식 전환도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종훈기자 artg@seoul.co.kr

2012-06-06 9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는 입장을,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를 통해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