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극 ‘장보고 기지’ 건설 본궤도

남극 ‘장보고 기지’ 건설 본궤도

입력 2012-06-13 00:00
업데이트 2012-06-13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호주 남극조약당사국 회의서 ‘ CEE 최종안’ 만장일치 통과

세종기지에 이은 제2의 남극기지인 ‘장보고기지’ 건설이 국제사회의 동의를 얻으면서 본궤도에 올랐다.

●기지 건설 ‘마지막 관문’ 통과

국토해양부는 11일(현지시간) 호주 호바트에서 열린 제35차 남극조약협의당사국회의(ATCM)에서 우리 정부의 남극 장보고기지에 대한 ‘포괄적환경영향평가서’(CEE)가 채택됐다고 12일 밝혔다.

CEE는 남극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활동을 벌일 경우 34개 남극조약협의당사국들의 동의를 얻기 위해 제출하는 필수 문서다. 남극조약의 환경보호의정서에 따라 남극에 기지를 건설하기 위해 거치는 마지막 절차이기도 하다.

임현택 국토부 해양신성장개발과장은 “우리 측 CEE 최종안에 대해 미국, 러시아, 중국, 일본, 호주, 인도, 이탈리아 등 10개 주요 국가가 전폭적인 지지를 보내 줬다.”면서 “당사자인 우리나라를 제외한 33개국이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고 전했다. 최근 쇄빙연구선인 아라온호를 활용한 현지 정밀조사와 장보고기지의 친환경 건설노력이 높이 평가받았다는 것이다. 이탈리아 대표단의 경우 “(한국과의) 공동연구를 기대한다.”고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친환경 건설노력 등 높이 평가

장보고기지는 1988년 완공된 세종기지에 이은 두 번째 남극 과학기지로, 2014년 3월 완공을 목표로 모두 1067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된다. 최대 60명을 수용할 수 있는 생활동 등 15개 건물이 들어선다. 국토부는 남극 동쪽 빅토리아섬 테라노바만 연안에 올해 초 기공식을 가진 바 있다.

대륙기지건설단 관계자는 “장보고기지가 완공되면 한국은 세계 9번째로 2개의 남극 상주 기지를 보유한 국가가 된다.”면서 “남극의 해저지질을 비롯해 해양생물자원, 빙하, 우주과학 등 남극해를 중심으로 연구활동을 벌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오상도기자 sdoh@seoul.co.kr

2012-06-13 10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