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 무단투기 계도·단속 시스템 개발

쓰레기 무단투기 계도·단속 시스템 개발

입력 2012-06-19 00:00
업데이트 2012-06-19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진주 연암공업대 창업동아리

경남 진주시 연암공업대학은 18일 대학 내 창업동아리팀이 쓰레기 무단투기행위를 24시간 계도·예방하고 단속할 수 있는 무선 영상감시 장치인 ‘클린지킴이’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클린지킴이는 4m 높이의 기둥과 태양 전지판, 감지센서, 조명, 블랙박스, 무선영상전송장치 등으로 이뤄졌다. 기존 유선 인터넷과 달리 무선센서와 무선통신 기능을 결합한 차세대 모바일 사물지능통신기술(M2M)을 활용한 장치로 어느 곳에나 설치할 수 있다. 이동설치도 자유롭다.

클린지킴이는 쓰레기를 무단투기하려고 접근하면 센서가 동작해 ‘쓰레기를 무단투기하면 100만원 이하의 벌금을 부과합니다. 자동촬영되고 있습니다.’라는 내용의 경고 방송을 한다. 밤에는 조명을 비추면서 경고 방송을 한다. 경고 방송을 무시하고 쓰레기를 버리면 단속반 직원 휴대전화로 투기현장 화면을 전송한다. 단속반 직원이 클린지킴이로 전화를 걸어 현장 상황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고 경고 방송도 할 수 있다. 블랙박스는 쓰레기 무단투기자의 영상정보를 자동으로 저장한다. 최근 진주시 강남동 1곳과 부산시 수영구 3곳에 시범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진주 강원식기자 kws@seoul.co.kr



2012-06-19 29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는 입장을,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를 통해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