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임빠에 을렐레… 타리마까시”

“마임빠에 을렐레… 타리마까시”

입력 2012-06-20 00:00
업데이트 2012-06-20 00: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印尼 찌아찌아족 교사 4명 한글 배우러 한국 나들이

“마임빠에 을렐레. 타리마까시.”

19일 오전 한국외국어대학교의 한 강의실. 인도네시아의 작은 도시 바우바우에서 온 초등학교 교사 라알리(36)가 칠판에 적은 글자다. 바우바우에 가면 똑같이 만날 수 있는 ‘한글’이다. 라알리는 한글을 공식문자로 채택한 인도네시아 소수민족 찌아찌아족 출신이다. ‘마임빠에 을렐레’는 ‘안녕하세요.’, ‘타리마까시’는 ‘고맙습니다.’라는 뜻이다.
이미지 확대
19일 오전 서울 동대문구 한국외국어대 본관 강의실에서 인도네시아 찌아찌아족 출신 교사 4명이 이현 강사의 발음 수업을 듣고 있다.
19일 오전 서울 동대문구 한국외국어대 본관 강의실에서 인도네시아 찌아찌아족 출신 교사 4명이 이현 강사의 발음 수업을 듣고 있다.


찌아찌아족 교사 4명이 한글을 배우기 위해 18일 한국을 찾았다. 라알리와 다르민(38), 바르딘(37), 라시드(26)가 그들이다. 라알리와 라시드는 바우바우의 초등학교에서 한글을, 다르민과 바르딘은 각각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 수학과 문화를 가르치고 있다. 이들은 6월 18일부터 두달간 한국외대 한국어문화교육원에서 한글의 특성과 한글 교습법, 한국문화 등을 배우게 된다.

이들은 19일에 열린 첫 수업에서 ‘아’, ‘이’, ‘우’, ‘에’, ‘오’ 등 단모음부터 배웠다. 한국어문화교육원의 이현(31·여) 강사가 “이”라고 발음하자 일제히 “이”라고 따라했다. 발음할 때 드러난 치아가 더 예뻐 보였다. 발음은 서툴렀지만 열의는 넘쳤다. 이 강사가 ‘이’는 한국어로 숫자 2와 치아를 뜻하기도 한다고 설명하자 연신 고개를 끄덕이며 즐거워했다. 라시드는 “한글은 ‘의’나 ‘와’ 같은 이중모음이 많은 게 어렵다.”고 말했다.

찌아찌아족은 고유의 언어는 있지만 이를 표기할 글자가 없어 지난 2009년 한글을 공식 문자로 채택했다. 라알리는 “민족의 역사나 전래동화를 전할 글자가 없어 많은 것들이 점점 잊혀져 가고 있다.”면서 “바우바우에 돌아가면 한글로 역사를 서술해 아이들에게 가르치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

교사들은 이번 방한이 첫 외국 나들이다. 한국에 대한 인상을 묻는 질문에 다르민은 “태권도와 복싱을 통해 1980년대부터 한국에 대한 소식을 접했지만 직접 와서 발전된 모습을 보고 무척 놀랐다.”고 말했다. 바르딘은 “인도네시아에서는 길거리 흡연이 많은데 한국에서는 거리에서 담배를 피우는 사람이 적은 것도 인상적이었다.”고 소감을 전했다. “한국의 학교에 가서 우리가 배운 한국어를 연습해 보고 싶다.”는 라알리는 “똑같은 한글을 우리 찌아찌아족도 쓴다는 사실을 한국 학생들에게 보여주고 싶다.”며 밝게 웃었다.

배경헌기자 baenim@seoul.co.kr

2012-06-20 27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