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銀 1조2천억 불법대출…3천억 환수

저축銀 1조2천억 불법대출…3천억 환수

입력 2012-06-20 00:00
업데이트 2012-06-20 14: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저축은행 비리 합동수사단(단장 최운식 부장검사)은 중국으로 밀항하려다 검거된 미래저축은행 김찬경(55) 회장을 비롯해 2차 영업정지된 4개 저축은행 대주주ㆍ경영진 12명을 전원 구속수사해 1천179억원의 횡령ㆍ배임 등 대주주 개인비리를 적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미지 확대
저축은행 비리 합동수사단은 지난달 6일 3차로 영업정지된 솔로몬·미래·한국·한주 등 4개 저축은행 수사 결과를 20일 발표했다.최운식 합동수사단 단장이 서초동 서울중앙지검에서 발표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저축은행 비리 합동수사단은 지난달 6일 3차로 영업정지된 솔로몬·미래·한국·한주 등 4개 저축은행 수사 결과를 20일 발표했다.최운식 합동수사단 단장이 서초동 서울중앙지검에서 발표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합수단은 지난 5월6일 영업정지된 솔로몬ㆍ미래ㆍ한국ㆍ한주 저축은행이 총 1조2천882억원 규모의 불법대출(부실ㆍ배임대출 4천538억원, 한도 초과대출 2천864억원, 대주주 자기대출 5천480억원)을 저지른 사실을 확인했다.

합수단은 비리 관련자의 책임ㆍ은닉재산을 추적한 끝에 3천327억원을 확보, 예금보험공사에 통보ㆍ환수했다.

1차 영업정지된 저축은행 환수분(3천168억원)을 더하면 지금까지 책임재산 환수 총액은 6천495억원이다.

최운식 합수단장은 이날 오후 서울중앙지검 브리핑룸에서 이 같은 내용의 저축은행 비리 3차 수사결과를 발표했다.

최 단장은 “대주주들의 횡령액 용처와 정관계 로비 등 추가로 제기된 의혹을 계속 수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합수단에 따르면 김 회장은 골프장 인수를 위해 25개 차주 명의로 3천800억원을 대출해 1천689억원을 회수 불가능하게 하고 미술품 12점 등 102억원 상당과 은행 법인자금 203억원, 주식 266억원을 횡령한 혐의 등으로 기소됐다.

솔로몬저축은행 임석(50) 회장은 금융감독원 검사 무마 명목으로 20억여원을 수수하고 292억원의 대주주 자기대출 등 1천123억원의 배임을 저지른 혐의를 받고 있다.

수사결과 한국저축은행 윤현수(59) 회장은 자신의 아내 고문료 명목으로 10억여원을 횡령하고 아내의 벤츠 S600 승용차 리스료 등 7억원, 청담동 호화빌라 구입자금 36억여원을 법인 측에 부담하게 한 것으로 드러났다.

윤 회장은 특수목적법인(SPC)에 211억원을 불법 대출해 일본 후쿠오카 세븐힐스 골프장을 인수했으나 일본 대지진 영향으로 골프장 매출액이 폭락해 대출금 회수가 불가능해졌다고 합수단은 설명했다.

한주저축은행 김임순(53) 대표는 예금주 통장에는 입금 표시되고 은행 전산상에는 입금기록이 남지 않는 ‘테스트모드’를 써서 예금 180억원을 횡령한 사실도 적발됐다.

이들 대주주ㆍ경영진의 횡령ㆍ배임 액수는 김찬경 회장이 713억원으로 가장 많고 김임순 대표 216억원, 임석 회장 195억원, 윤현수 회장 55억원 순이다.

합수단은 그동안 1, 2차 영업정지된 저축은행 수사를 통해 총 84명을 입건, 49명을 구속기소하고 34명을 불구속 기소, 1명을 구속수사 중이다.

한편 합수단은 새누리당 이상득 전 의원의 저축은행 로비와 관련된 첩보에 대해서는 “현재 뚜벅뚜벅 수사 중”이라고 밝혔다.

또 임석 회장이 금감원 로비용으로 받았다는 20억여원의 용처 및 실제 로비 여부, 김찬경 회장이 법정관리 중인 경기 용인 수지의 한 병원을 매입하는 과정에서 청와대 김모 행정관이 관련됐는지 등에 대해서도 계속 수사 중이라고 합수단은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