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볼거리 유행 왜

서울대 볼거리 유행 왜

입력 2012-06-23 00:00
업데이트 2012-06-23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36명 발병… 환자수 작년의 10배, 전문가들 “강한 전염성 탓… 우연”

최근 서울대 보건진료소에 화학생물공학부 학생 8명이 잇따라 찾아왔다. 한결같이 귀밑이 부어 있었다. 검진 결과는 유행성 이하선염(볼거리)이었다. 보건진료소에서 일하는 가정의학과 간호사는 “진단서를 발급할 테니 등교하지 말고 5일간 집에서 치료하라.”고 말했다.

최근 서울대에 볼거리 공포가 확산되고 있다. 화학생물공학부의 경우 한 연구실에서만 6명의 환자가 나오기도 했다. 해당 연구실 연구원 A(29)씨는 “학과 이름만 대면 보건진료소에서 아무 말 없이 진단서를 발급해 준다고 들었다.”면서 “요즘 볼거리가 유행이라 서로서로 조심하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화학생물공학부뿐이 아니다. 건설환경공학부에서도 6명의 환자가 발생했다. 지난 3월에는 사범대에 볼거리가 퍼지기도 했다. 한 달 사이 9명의 학생이 볼거리에 걸려 등교도 못한 채 치료를 받아야 했다. 또 개학 후 최근까지 재료공학부 학생 등 14명이 볼거리 환자로 신고됐다.

22일 서울대 보건진료소 관계자는 “예년에는 볼거리 환자가 연평균 4~5명 정도였는데 올해는 한 학기에만 36명이나 발생했다. 볼거리가 봄과 늦겨울에 유행하는 걸 감안하면 환자 수가 지난해의 10배를 웃도는 규모”라고 말했다. 그는 “갑자기 환자가 늘어나 다른 대학에도 알아봤는데 타 대학에서는 이상 징후가 없다고 하더라.”면서 “왜 유독 서울대에서만 볼거리가 퍼지는지 모르겠다. 바이러스 질환으로 전염성이 강한 탓에 우연히 유행에 이른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볼거리는 기침이나 대화할 때 퍼진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되는 급성 유행성 전염병으로 일단 감염되면 이하선(귀밑샘)이 붓고, 발열·두통·근육통·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박영준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관리과 연구원은 “볼거리는 국가예방접종 대상인 법정 2군 감염병으로 1994년 이전에 출생한 이들은 2차 예방접종 대상이 아니었기 때문에 볼거리 면역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가 많다.”면서 “서울대의 경우 조사를 해 봐야 하겠지만 요즘 대학생 연령대가 볼거리 취약층인 것도 한 요인일 것”이라고 말했다.

명희진기자 mhj46@seoul.co.kr

2012-06-23 1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