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극장 ‘미소’ 포스터 도용 논란

정동극장 ‘미소’ 포스터 도용 논란

입력 2012-06-26 00:00
업데이트 2012-06-26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소인 “산업디자인전 수상작… 원작 교묘히 변형” 극장측 “외주 맡겨… 고소인 작품 참고 없이 제작”

서울 정동극장이 내건 전통뮤지컬 ‘미소’(MISO·美笑)의 포스터가 도용 논란에 휘말렸다. 25일 서울 남대문경찰서에 따르면 이봉섭(64) 영남대 시각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교수가 지난달 서울중앙지검에 “정동극장이 공연 포스터에 자신의 디자인을 무단 도용했다.”며 고소한 사건을 넘겨받았다. 경찰은 지난달 말 이 교수와 정동극장 관계자, 극장 측으로부터 외주를 받아 포스터를 디자인한 업체 측을 소환, 조사했다. 경찰 측은 “저작권 위반 혐의에 해당되는지 피고소인 측을 불러 사실관계를 확인 중”이라고 설명했다.

디자인 도용 논란에 휘말린 서울 정동극장의 뮤지컬 미소(MISO·美笑) 포스터(오른쪽)와 자신의 디자인이 도용됐다고 주장하는 이봉섭 영남대 시각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교수의 여인상 작품(왼쪽).
디자인 도용 논란에 휘말린 서울 정동극장의 뮤지컬 미소(MISO·美笑) 포스터(오른쪽)와 자신의 디자인이 도용됐다고 주장하는 이봉섭 영남대 시각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교수의 여인상 작품(왼쪽).


이 교수는 고소장에서 ‘정동극장이 1997년부터 상연하고 있는 뮤지컬 미소의 포스터 등에 자신이 인삼비누 광고용으로 직접 디자인한 ‘여인상 작품’ 일부가 무단으로 도용됐다.’고 주장했다. 뮤지컬 미소는 1997년 ‘전통예술무대’라는 제목으로 올려진 뒤 2008년 이름이 바뀌었다. 이후 ‘춘향전’ 이야기에 전통 춤과 풍물, 판소리 등을 버무린 한류 문화상품으로 자리 잡았다.

이 교수는 우연히 정동극장에 들렀다가 자신의 작품을 떠올리게 하는 포스터를 발견, 정동극장 측에 항의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 교수는 1979년 대한민국 산업디자인전에 ‘여인상 작품’을 출품, 전국경제인연합회장상을 받았다. 이 교수는 “정동극장이 ‘커밍21이라는 디자인업체에 외주를 맡겨 디자인한 것’이라며 진상을 알아보겠다고 한 뒤 아무런 답변을 내놓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단순히 디자인을 표절한 것뿐만 아니라 디자인을 교묘히 변형해 원작의 매력까지 크게 떨어뜨렸다.”면서 “정동극장이 책임을 커밍21에 돌리고 있지만 소명자료를 보니 ‘(포스터 디자인은) 정동극장의 오랜 자산’이라고 명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정동극장 측은 이와 관련, “외주업체는 이 교수의 작품을 참고하지 않은 상태에서 초안부터 단계별로 디자인했고 스케치 원본 등 이에 대한 증거자료도 제출했다.”면서 “뮤지컬이 1997년부터 상영됐지만 해당 포스터는 재작년 말부터 제작된 것이며 해마다 디자인을 업그레이드한다.”고 반박했다.

배경헌·백민경기자 white@seoul.co.kr

2012-06-26 10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