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노조 ‘임금협상 결렬’…파업수순

현대차노조 ‘임금협상 결렬’…파업수순

입력 2012-06-28 00:00
업데이트 2012-06-28 17: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회사 “충분한 논의 없이 일방결렬은 이치 맞지 않아”

현대자동차 노조(금속노조 현대자동차지부)가 28일 올해 임금협상 결렬을 선언, 파업절차를 밟는다.

노사는 이날 울산공장 본관 아반떼룸에서 윤갑한 대표이사 부사장(울산공장장)과 문용문 노조위원장(지부장) 등 노사교섭대표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9차 본교섭을 열었다.

노사는 이 자리에서 주간 연속 2교대제를 포함한 일부 임협 요구안을 놓고 논의했으나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노조는 “회사 측의 만족할 만한 제시안이 없었다”며 협상결렬을 선언했다.

노조는 오는 7월3일 임시대의원대회를 열어 쟁의발생을 결의하고 중앙노동위원회에 조정신청을 하기로 했다.

또 노조는 오는 7월10일과 11일 전체 조합원 4만5천여명을 상대로 파업 돌입 여부를 묻는 찬반투표를 하기로 했다.

상급노동단체인 금속노조는 지난 26일 사용자단체와의 산별중앙교섭에서 이미 협상결렬을 선언했다.

금속노조는 오는 7월13일 4시간 부분파업을 계획해놓고 있다.

현대차 노조는 금속노조의 이번 파업에 동참할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 노조가 파업에 나서면 2009년, 2010년, 2011년까지 3년 연속 이어온 무분규 타결기록은 깨진다.

현대차는 “1회독(모든 요구안을 한차례 논의)도 마무리하지 않은 상황에서 노조의 일괄제시안 요구는 무리하다”며 “올해는 임금협상임에도 불구하고 정년연장, 타임오프(근로시간 면제제도) 철폐 등 단협 안건과 해고자 복직 등이 안건으로 올라와 협상 자체를 어렵게 이끌어 왔다”고 지적했다.

현대차는 이어 “노사간에 심도 있는 논의가 부족한 상황에서 상급노동단체의 파업동력으로 내몰렸다”며 “지난 5월10일 상견례를 포함해 총 9차례의 협상이 진행되는 동안 임금 및 주간 연속 2교대제 도입 문제 등 주요 안건에 대한 충분한 논의가 없는 상황에서 일방적으로 결렬을 선언한 것은 이치에 맞지 않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