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양기관도 출생신고 가능”… 입양법 재개정 논란

“입양기관도 출생신고 가능”… 입양법 재개정 논란

입력 2013-01-24 00:00
업데이트 2013-01-24 00: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贊 “미혼모 신고 꺼려 유기兒↑” 反 “묻지마 입양 아동권리 박탈”

미혼모가 아이를 입양 보내기 전 의무적으로 출생신고를 하도록 한 입양특례법을 개정하는 법안이 국회에 발의되면서 입양 관련 단체들의 시각이 엇갈리고 있다. 국내 입양 기관들은 현행법이 미혼모들의 입양 의뢰를 가로막는다고 주장하는 반면 해외 입양인 및 미혼모 단체들은 특례법이 미혼모와 아동의 권리 보호를 위한 것이라고 반박하고 나섰다.

지난해 8월부터 바뀌어 시행 중인 입양특례법은 미혼모 등 친생부모가 아이를 입양 보내기 전 출생신고를 마치고 7일 동안 입양 숙려 기간을 갖도록 하고 있다. 입양이 완료되면 친생부모와 아이의 가족관계증명서에 있던 모자관계 기록은 삭제되고 추후 입양인이 원할 경우 친생부모의 정보 공개를 청구할 수 있다. 그동안 미혼모는 출산 직후 등 떠밀리듯 입양동의서에 서명하고 입양인은 양부모의 친자녀로 출생신고돼 자신의 뿌리를 찾을 수 없었던 관행을 근절하려는 취지다.

그러나 국내 입양 기관들은 미혼모들이 출생신고를 하기 꺼리므로 이 제도가 입양을 가로막는다고 주장한다. 동방사회복지회 관계자는 “지난해 8월 이후 입양 의뢰 건수가 눈에 띄게 줄었고 입양 건수도 줄었다”고 말했다.

미혼모들이 아이를 불법적으로 입양하거나 내다 버리는 사례가 늘고 있다는 주장도 있다. 이에 따라 청소년 미혼모에 한해 입양 기관이 출생신고를 대신 할 수 있게 하고 입양 숙려 기간에 예외를 두는 등의 내용을 담은 입양특례법 개정안이 지난 18일 국회에 발의됐다.

그러자 해외 입양인 단체와 미혼모 단체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진실과 화해를 위한 해외 입양인 모임, 한국 미혼모 지원 네트워크 등 8개 단체는 지난 21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해외 입양인 지원 단체인 뿌리의 집 김도현 목사는 “일부 사례만으로 미혼모의 영아 유기가 늘었다고 단정할 수 없다”면서 “미혼모의 친권과 아동의 권리는 뒷전으로 하고 입양만이 해법이라는 생각으로 법의 취지를 왜곡해선 안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따라 ‘입양’을 둘러싼 이 단체들 간 갈등이 재연될 조짐이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출생신고에 대한 미혼모의 부담이 크다면 가족관계증명서를 보완하는 등 미혼모의 개인정보 보호 강화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3-01-24 1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