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물고기 3배 늘었지만 생태계 교란종도 같이 급증

4대강 물고기 3배 늘었지만 생태계 교란종도 같이 급증

입력 2013-02-14 00:00
업데이트 2013-02-14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환경과학원 최근 3년간 조사

이미지 확대
4대강 살리기 사업 이후 한강·낙동강 등 주요 하천의 외래종 어류와 귀화식물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고인 물에 주로 살고, 오염에 내성이 강한 ‘정수성’ 어류도 대폭 증가했다.

국립환경과학원은 2010∼2012년 4대강 유역 보(洑) 주변의 어류와 수변 식생을 조사한 결과 금강을 제외한 한강·낙동강·영산강에서 외래종 어류의 개체수가 늘어났다고 13일 밝혔다. 낙동강은 2010년 132마리에서 지난해 340마리, 영산강은 같은 기간 340마리에서 지난해 986마리로 각각 세 배 가까이 늘어났다. 하지만 금강은 58마리에서 39마리로 줄었다. 이 중 파랑볼우럭, 큰입배스 등 생태계 교란종도 다수 포함돼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원래 서식지가 아닌 곳에 뿌리를 내려 토착화한 귀화식물도 크게 늘었다. 한강의 귀화식물은 2010년 21종에서 지난해 32종으로, 영산강은 2010년 44종에서 60종으로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귀화식물 중에도 돼지풀, 미국쑥부쟁이 등 생태계 교란종이 발견됐다.

강물의 체류시간이 늘어난 탓에 잉어, 붕어, 납자루 등 정수성 어류도 많아졌다. 영산강의 경우 2010년 625마리에서 지난해 다섯 배 정도인 3150마리로 폭증했다. 낙동강은 같은 기간 503마리에서 1858마리로, 한강은 496마리에서 884마리로 증가했다. 금강도 1256마리에서 1543마리로 늘어났다. 전체 어류 종수는 낙동강을 제외한 세 곳에서 모두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환경과학원은 정수성 어류의 증가에 체류시간뿐만 아니라 4대강 사업으로 풍부해진 수량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했다. 환경과학원 관계자는 “생태계 교란종은 공사 전부터 다수 발견됐고, 귀화식물은 수변공원 조성 등의 영향을 받은 것”이라며 “3년간의 조사로 생태계의 변화를 파악하기는 어렵고 더 오랜 기간 관찰해야 한다”고 말했다.

세종 유진상 기자 jsr@seoul.co.kr

2013-02-14 11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