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항쟁 겪은 임신부 스트레스… 손자까지 악영향”

“광주항쟁 겪은 임신부 스트레스… 손자까지 악영향”

입력 2013-02-15 00:00
업데이트 2013-02-15 0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철희 서울대 교수 논문 발표

1980년 5·18 광주민주화운동 당시 임신부가 겪은 스트레스가 자녀 세대를 거쳐 손자 세대의 건강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논문이 나왔다.

이철희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14일 서울대 호암관에서 개막한 ‘아시아·태평양 경제사 학술대회’에서 연구논문 ‘1980년 광주항쟁으로 인한 태아기 스트레스가 후속 세대 건강에 미친 효과’를 발표했다.

분석 결과 광주민주화운동 당시 광주에서 태아기를 보낸 여성들에게서 태어난 신생아들이 그렇지 않은 신생아들에 비해 임신 기간이 짧고, 출생 당시 체중이 가벼웠으며, 저체중(2.5㎏ 미만) 출산과 조산(37주 미만 출산)의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임신 중기에 태아가 과도한 스트레스에 노출된 경우 이 태아가 성장해 낳은 자녀의 출생에 가장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 교수는 “부모의 교육 수준과 직업을 통제해도 부모의 태아기 광주항쟁 경험이 자녀의 출생 결과에 미치는 효과는 달라지지 않았다”면서 “스트레스의 세대 간 전이가 사회경제적인 요인으로 이뤄지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기초자료는 인구동태조사에 제시된 출생지와 부모 생년월일에 기초했고, 출생신고에 나타난 임신 주수와 체중 항목을 활용했으며, 2000년과 2002년에 태어난 신생아를 비교했다”고 밝혔다.

그는 “1980년 광주민주화운동과 같이 극단적으로 폭력적인 상황에서 임신부들이 겪게 된 스트레스가 두 번째 세대(손자와 손녀)의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 주는 매우 드문 증거”라며 “광주항쟁으로 인해 신체적인 외상을 입지 않은 시민의 상당수도 피해자라는 사실을 보여 준다”고 분석했다.

문소영 기자 symun@seoul.co.kr

2013-02-15 12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