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민 10명 중 7명 생활 중 스트레스 느껴”

“서울시민 10명 중 7명 생활 중 스트레스 느껴”

입력 2013-02-15 00:00
업데이트 2013-02-15 09: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시 분석…10만명당 암 사망자 10년새 22%↑

서울의 인구 10만명당 암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최근 10년 사이 2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서울시민 10명 중 7명 정도가 일상생활을 하면서 스트레스를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시는 시 통계와 보건복지부·통계청 자료 등을 분석, 이런 결과를 담은 ‘서울 보건ㆍ복지의 주요변화 및 시민의식 분석현황’을 15일 발표했다.

통계에 따르면 2011년 서울 시민 사망자 4만320명을 주요 사망원인별로 보면 3대 사망원인인 암, 뇌혈관질환, 심장질환으로 1만8천858명이 숨져 전체의 46.8%를 차지했다.

이 중 인구 10만명당 암으로 인한 사망자는 2001년 98.0명에서 2011년 119.6명으로 10년 새 21.6명(22.0%) 증가했다. 같은 기간 심장질환 사망자는 27.5명에서 31.2명으로 늘었다.

반면 뇌혈관질환 사망자는 54.2명에서 35.6명으로 감소했다.

2011년 인구 10만명당 암 사망자를 종류별로 보면 폐암(24.5명), 간암(17.4명), 위암(15.3명), 직장암(13.7명), 췌장암(7.8명) 등의 순으로 많았다.

위암은 2001년 18.2명으로 가장 많았으나 10년새 2.9명 감소한 반면 2위였던 폐암은 17.7명에서 6.8명 증가했다.

또 작년 5월 조사시점 현재 13세 이상 인구의 72.4%가 2주일 동안 전반적인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를 느꼈다고 응답했다. 이 중 12.8%는 ‘매우 많이 느낀다’고 답했다.

스트레스를 느꼈다는 응답자의 비율은 여성(74.0%)이 남성(70.6%)보다 높았다. 원인별로 직장생활에서 받는 스트레스가 77.6%로 가장 높았고 이어 학교생활(56.6%), 가정생활(50.3%) 순이었다.

15세 이상 시민에게 부모의 노후 생계책임에 대해 물었더니 ‘가족과 정부ㆍ사회가 공동으로 책임져야 한다’는 응답이 2002년 22.3%에서 2012년에는 배 이상인 54.0%로 증가했다.

반면 ‘노부모 부양은 전적으로 가족 책임’이라는 응답은 64.8%에서 28.7%로 감소했다.

2011년 기준으로 19세 이상 가구주의 80.1%가 ‘본인의 노후를 준비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노후준비 방법은 ‘국민연금’이 56.2%로 가장 많았다. 그 뒤를 예금ㆍ적금(15.9%), 사적연금(11.5%), 부동산 운용(7.2%) 등이 이었다.

만 0∼5세 아동 중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을 이용하는 아동 수는 2006년 25만7천246명에서 2011년 29만188명으로 12.8%(3만2천942명) 증가했다. 이용률은 47.4%에서 57.7%로 10.3%포인트 늘었다.

15세 이상 인구 중 건강관리로 ‘규칙적 운동을 한다’는 비율은 2006년 29.5%에서 2012년 38.8%로, ‘정기건강검진을 한다’는 비율은 30.0%에서 51.2%로 각각 증가했다.

2012년 20세 이상 인구 중 지난 1년 동안 주 1회 이상 술을 마신 음주 인구 비율은 29.8%(남성 45.5%, 여성 15.2%)로 나타났다. 흡연자 비율은 1999년 33.4%에서 2012년 23%로 줄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