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베트남 출신 생도 “이순신처럼 훌륭한 군인될 것”

태국·베트남 출신 생도 “이순신처럼 훌륭한 군인될 것”

입력 2013-02-23 00:00
업데이트 2013-02-23 00: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공사·해사 외국인 졸업생 화제

해·공군사관학교가 22일 졸업식을 열고 291명의 장교를 배출했다. 이번 졸업식에서는 태국과 베트남 등 외국인 생도들도 눈에 띄었다.

충북 청주 공군사관학교에서 열린 제61기 공사 졸업식에서는 여생도 15명과 태국인 수탁교육 생도 등을 포함해 모두 157명이 졸업장을 받았다.

특히 태국의 타왓차이 텅생께오(왼쪽·26) 생도는 졸업서열 9등으로 콜롬비아 공군참모총장상을 받았다. 공사가 1994년부터 외국인 수탁교육생을 받아들인 이래 가장 높은 성적을 차지한 그는 외국인으로서는 최초로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1월까지 대대장 생도를 지내기도 했다.

대대장 생도는 생도들의 자치조직인 생도전대 640여명 중 두 번째 서열이다.

타왓차이 생도는 320명에 이르는 대대원을 지휘하는 책임을 맡아 왔다. 그는 “동기들과 교수님들께서 많이 도와준 덕”이라면서 “주한 태국대사관의 무관이 돼서 양국 군사우호관계 증진에 기여하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 공사는 이 밖에 박건태(23) 생도가 수석졸업에 해당하는 대통령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경남 진해에서 열린 제67기 해군사관학교 졸업식에서는 한때 적성국이던 베트남 출신 첫 수탁 졸업생이 나왔다.

해사의 두 번째 외국인 졸업생인 부딘 특(오른쪽·24) 생도는 2008년 베트남 해사에 입교해 1년 과정을 마치고 2009년부터 우리 해사에서 4년간의 교육을 무사히 마쳤다. 해사는 외국인 수탁생도의 경우 별도의 졸업서열을 산출하지 않는다.

부딘 생도는 “한국에서 받은 전투수영 훈련을 잊을 수 없고 베트남의 충무공 이순신 같은 훌륭한 장교가 되고 싶다”는 소회를 밝혔다. 해사는 이날 수석졸업생인 김하늘(24) 생도 등 총 134명(여생도 11명 포함)이 졸업했다고 밝혔다.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2013-02-23 25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