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독립 만세’…광주·전남서 3·1절 기념행사

‘대한독립 만세’…광주·전남서 3·1절 기념행사

입력 2013-03-01 00:00
업데이트 2013-03-01 11: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3·1절 제94주년인 1일 광주·전남지역에서도 기념행사가 다채롭게 열렸다.

광주시는 이날 오전 10시 빛고을 시민문화관에서 3·1절 기념식을 열어 독립정신을 기렸다.

강운태 광주시장, 조호권 시의회 의장, 광복회원, 보훈단체장 등 5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기념식은 독립선언서 낭독, 독립유공과 나라사랑 유공자 표창, 기념사, 전통민요 공연, 만세삼창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

1928년 광주공립보통학교 재학 중 동맹 휴학을 주도하다 체포된 조기석(1907~1931) 선생이 독립유공으로 대통령 표창에 추서됐으며 태극기 달기 운동을 한 공로로 기천순 씨 등 5명이 광주시장 표창을 받았다.

전남도도 이날 오전 10시 도청 김대중강당에서 박준영 전남지사, 보훈단체, 도민 등 9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3·1절 기념식을 열었다.

이날 행사는 문사훈 애국지사의 유족 문대식 씨의 독립선언서 낭독, 3·1절 노래 제창, 만세삼창 순으로 열렸다.

전남도청 건물에는 3·1절을 기념해 가로 20m, 세로 65m 규모의 대형 태극기가 내걸려 눈길을 끌었다.

광주 동구 금남로 옛 전남도청에서는 3·1절 전국 마라톤대회가 열려 동호인 등 5천여 명이 광주 도심을 달리며 독립정신을 기렸다.

민족문제연구소 광주지부는 빛고을시민문화관에서 친일파 동상 철거와 친일행적 기록 안내판 세우기를 위한 서명운동을 펼쳤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