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3 올해 첫 학력평가서 87%가 영어 B형 선택

고3 올해 첫 학력평가서 87%가 영어 B형 선택

입력 2013-03-31 00:00
업데이트 2013-03-31 15: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영어 A·B 최고점 34점 차이…”중하위권은 A형 선택하면 2등급 상승효과”

지난 13일 고등학교 3학년생을 대상으로 치러진 올해 첫 전국연합학력평가에서 영어 B형을 선택한 비율이 87.2%로 최종 집계됐다.

31일 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고3 학생들이 수능을 앞두고 처음 치른 이번 학력평가에 1천942개 고교의 재학생 52만8천367명이 응시했다. 작년 같은 시험보다 응시자 수가 7천256명 줄었다.

영어는 A형 응시자가 6만5천491명(12.4%)인데 비해 B형 응시자는 46만999명(87.2%)으로 7배에 달했다.

국어는 A형 응시자가 25만4천179명(48.1%), B형 응시자가 27만2천104명(51.5%)으로 나타났다. 수학은 A형 32만7천900명(62.1%), B형 19만4천750명(36.9%)으로 집계됐다.

A형은 현행 수능보다 쉽고, B형은 현행 수능과 비슷한 수준이다.

올해 고3이 지난해 11월 치른 고2 모의고사와 비교하면 영어는 B형 응시자 비율이 4%포인트 증가해 B형 쏠림 현상이 커졌다. 국어는 B형 응시자 비율이 2.3%포인트 증가했고, 수학은 A형 응시자가 0.6% 포인트 늘었다.

입시 전문가들은 영어는 인문·자연 중하위권 이상(1∼6등급) 대부분이 B형에 응시하고, A형은 일부 인문계(예체능)와 자연계 하위권이 응시한 것으로 분석한다.

또 국어 A형은 자연계와 일부 인문계(예체능), 국어 B형은 인문계, 수학 A형은 인문계와 일부 자연계, 수학 B형은 자연계 수험생이 응시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입시업체 이투스청솔이 서울시교육청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추정치를 보면 영어 B형은 원점수 94점(표준점수 134) 이상이면 1등급이고, 2등급 컷은 원점수 87점(표준점수 127)이다.

원점수 기준 영어 A형 1등급 컷은 74점(표준점수 143), 2등급은 60점(표준점수 127) 등으로 B형보다 점수가 낮았다.

영어 최고점 표준점수는 A형 173점, B형 139점으로 34점 차이다. 영어 B형 3등급 컷 원점수인 75점(표준점수 117)을 A형에서 받으면 1등급(표준점수 144)이다.

오종운 이투스청솔 평가이사는 “중하위권은 B형에서 A형으로 바꾸면 적어도 2등급 상승효과가 있다”라며 “영어는 중위권(5등급)이나 중하위권(6∼7등급)에서 시간이 지날수록 A형으로 전환하는 학생이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국어 1등급 컷은 A형 원점수 94점(표준점수 126), B형 원점수 93점(표준점수 128)으로 나타났다. 쉽게 출제된 지난해 수능 언어영역(1등급 컷 98점)과 비교해 A·B형 모두 다소 어려웠다는 평가가 나온다.

수학 1등급 컷은 원점수 기준으로 인문계 학생들이 주로 선택하는 A형은 77점(표준점수 145), 이과생이 대부분 응시하는 B형은 86점(표준점수 112)이다.

과목별 만점자 비율은 국어는 A형 0.41%, B형 0.33%, 수학 A형 0.33%, B형 0.51%, 영어 A형 0.03%, B형 1.19%로 집계됐다.

사회·과학탐구는 2014학년도 수능부터 선택 과목이 종전 3과목에서 2과목으로 줄어 과목별 응시 현황에 대한 관심이 컸다.

사회탐구 선택과목은 사회문화(43.8%) 비율이 가장 높았고 생활과 윤리(40.5%), 한국지리(30.2%), 윤리와 사상(21.9%), 한국사(14.3%), 법과정치(13.4%), 동아시아사(11.2%), 세계사(9%), 세계지리(8.8%), 경제(5.9%) 순이었다.

과학탐구는 생명과학1(69.1%), 화학1(66.6%), 지구과학1(33.9%), 물리1(29.8%) 순으로 선택 비율이 높았다.

선택과목별 표준점수 최고점 차이는 사회탐구 17점(세계사 85점, 생활과 윤리·세계지리 각각 68점), 과학탐구는 13점(지구과학1 86점, 화학1 73점)이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