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 돌보겠다는 청소년 36%… 10년새 반토막

부모 돌보겠다는 청소년 36%… 10년새 반토막

입력 2013-05-03 00:00
업데이트 2013-05-03 00: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5~24살 의식 실태조사

우리나라 청소년의 결혼과 부모 부양에 대한 인식이 10년 만에 확 바뀐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과 여성가족부가 청소년의 생활과 생각의 변화를 추적한 결과다.

2일 발표된 ‘2013 청소년 통계’를 보면 지난해 15~24살 청소년 실태조사에서 ‘부모를 가족이 돌봐야 한다’는 인식이 35.6%로 2002년의 67.1%보다 절반 가까이 줄었다.

반면 가족과 정부·사회가 함께 부모를 돌봐야 한다는 생각은 10년 전 20.5%에서 지난해 50.0%로 2배 이상 늘었다.

결혼관도 변하고 있었다. 10년 전에는 ‘결혼을 해야 한다’고 답한 청소년이 61.2%였지만, 지난해 조사 결과 54.9%로 줄었다. 대신 ‘(결혼을) 해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고 답한 비율은 10년 전 34.1%에서 지난해는 39.8%로 상승했다. 또 ‘결혼을 안 하고도 함께 살 수 있다’는 58.4%였고, ‘외국인과 결혼해도 상관없다’는 답변도 73.4%로 나타났다.

예나 지금이나 청소년의 가장 큰 고민은 공부였지만, 직업에 대한 고민이 특히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공부가 고민이라고 답한 청소년 비율은 10년 전 39.8%에서 지난해 32.9%로 약간 줄었다. 하지만 직업에 대한 고민은 10년 전 6.9%에서 지난해 25.7%로 네 배 가까이 수직 상승했다. 중·고등학생 10명 가운데 1명은 담배를 피우고, 2명은 술을 마신다고 답했다.

지난해 조사 결과 중·고교생의 흡연율은 11.4%였으며, 음주율은 19.4%였다. 음주율과 흡연율은 미약하지만 감소하는 추세였다.

잿빛 소식도 있다. 청소년의 사망 원인 1위는 자살인데, 인구 10만명당 청소년 자살자 수가 2001년 7.7명에서 2011년 13.0명으로 증가했다. 자살하고 싶은 이유로 13~19살은 ‘성적 및 진학문제’(39.2%), ‘가정불화’(16.9%)를 들었고, 20~24살은 ‘경제적 어려움’(27.6%)과 ‘직장문제’(18.7%)를 꼽았다.

중·고교생의 폭력 피해 경험은 5.6%, 폭력 피해의 원인은 ‘특별한 이유 없다’가 51.8%로 절반을 넘었다. 중·고교생 가운데 가출 경험이 있는 학생은 12.2%였다. 가출 원인은 가족과의 갈등(61.3%), 자유롭게 살고 싶어서(12.8%), 가출에 대한 호기심( 5.2%) 등이었다.

올해 우리나라 총인구 5022만명 가운데 9~24살의 청소년 비중은 20.1%로 1978년 36.9%를 정점으로 계속 낮아지는 추세다. 다문화 가정의 학생 숫자는 지난해 4만 6954명으로 2006년보다 5배 늘어났다.

윤창수 기자 geo@seoul.co.kr

2013-05-03 10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