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행사위, 33주년 기념식 ‘불참’

5·18 행사위, 33주년 기념식 ‘불참’

입력 2013-05-16 00:00
업데이트 2013-05-1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보훈처 끝내 입장 발표 거부…5월 단체장도 불참 입장, 단체별 농성

5·18 행사 전반을 기획하고 진행하는 행사위원회와 5·18 관련 단체장들이 기념식 참석을 거부하기로 결정했다.

’5·18 민중항쟁 33주년 기념행사위원회’와 관련 3단체(5·18구속부상자회, 부상자회, 유족회), 5·18 기념재단, 광주·전남 시민단체들은 국가보훈처에 15일 낮 12시까지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여부에 대한 확답을 달라고 요청했으나 보훈처가 무응답으로 일관하자 이날 오후 비상 회의를 열고 행사위원회 차원에서 기념식에 불참하기로 합의했다.

3단체장들 역시 5·18 기념식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이 배제되면 행사 참석을 거부하겠다고 지난 3일 발표했던 기존 입장을 유지할 방침이다.

또 오는 18일 국립 5·18 민주묘지 앞에서 박승춘 국가보훈처장의 사퇴와 ‘임을 위한 행진곡’ 공식 기념곡 지정을 촉구하는 천막농성과 침묵시위, 서명운동 등을 벌일 예정이다.

농성은 시민단체들의 특성에 따라 개별적으로 진행되며, 행사위는 천막농성에는 동참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행사를 담당하는 위원회와 5월 당사자들의 기념식 불참이 결정되면서 지난 30주년 기념식 당시 임을 위한 행진곡이 공식 식순에서 제외되면서 주요단체 등이 구묘역에서 별도로 기념식을 치렀던 것처럼 이번에도 반쪽자리 기념식으로 전락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강운태 광주시장과 지역 국회의원, 5월 단체장들은 16일 오전 대책위원회를 개최할 것으로 알려졌다.

5·18단체의 한 관계자는 “노래 한 곡 부르고 말고의 문제가 아니다”며 “일부 세력의 5·18 역사 왜곡과 음해가 갈수록 심해지는데 보훈처마저 5·18을 상징하는 노래를 소외시켜 역사 지우기에 한몫을 하려 하는 것이 문제”라고 꼬집었다.

한편 보훈처는 애초 5월 3단체장들에게 15일까지 공식 식순을 고지하기로 했으며, 이날 회의를 거쳐 결과를 발표하겠다고 했으나 제창 여부 확정이나 유보 등에 대한 어떠한 입장 표명도 하지 않고 있다.

보훈처는 그동안 ‘공식 기념곡이 아니다’, ‘특정 정당이 당가처럼 부르는 노래라 국가행사에 부적절하다’며 임을 위한 행진곡을 공식행사에서 제외하거나 합창으로 대체해 5·18 단체들과 정치권, 시민사회 등의 큰 반발을 불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