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째 ‘컨테이너 경찰서’

10년째 ‘컨테이너 경찰서’

입력 2013-05-30 00:00
업데이트 2013-05-30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예산 없어 증축 못해… 금천·강남·방배 등 가건물 생활

박근혜 대통령이 대선 공약에서 경찰관 2만명 증원을 약속했지만 정작 일선 경찰들은 공간 부족으로 수년째 컨테이너에서 업무를 보고 있다.
서울 금천경찰서는 10년째 컨테이너를 강력팀 사무실로 사용하고 있다.
서울 금천경찰서는 10년째 컨테이너를 강력팀 사무실로 사용하고 있다.


서울 금천경찰서의 강력팀 3곳은 10년째 컨테이너 사무실에서 생활하고 있다. 컨테이너라는 공간과 밤낮 없는 강력반의 특성상 여름엔 찜통더위, 겨울엔 추위 속에서 근무를 하고 있다. 화장실도 이동식 간이 화장실이 전부다.

금천경찰서의 한 형사는 29일 “몇 년이 지났는데도 한여름엔 여전히 컨테이너에서 나오는 유독가스로 코가 찡하고 눈이 따갑다”면서 “올여름도 어떻게 보낼지 걱정스럽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겨울엔 사무실에 있는 화초가 모두 얼어 죽었다”면서 “환경 개선 차원에서 사무실마다 화초를 하나씩 키우라고 하지만 정작 필요한 시설 개선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아쉬움을 내비쳤다.

금천경찰서 본관 건물도 낙후되기는 마찬가지다. 1970년대에 세워진 본관 건물은 안전진단에서 C등급, 유치장 건물은 D등급을 받았다. 특히 컨테이너 사무실의 경우 가건물이라 아예 건축물 대장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관리 점검조차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실정이다.

금천구청 치수방재과 담당자는 “D나 E등급은 재난형으로 신속한 조치가 필요하지만 경찰서 건물은 경찰서 소관이라 구청에서 따로 관리하거나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경찰서 관계자는 “건물 자체가 오래돼 증축하는 데 더 많은 비용이 들 것”이라면서 “옮길 생각으로 한두 해 버틴 게 벌써 10년째”라고 말했다.

이 같은 상황은 금천경찰서뿐만이 아니다. 서울 방배경찰서와 중랑경찰서, 강남경찰서도 공간 부족으로 수년째 컨테이너 사무실을 운영하고 있다. 한 경찰서 경무과장은 “(컨테이너 사무실은) 경찰관의 사기를 저하시키고 업무의 효율성을 떨어뜨린다”면서도 “올해 여성청소년과가 생겨났듯이 해마다 새로운 부서가 신설되는데 기존 건물엔 수용할 공간이 없어 가건물을 설치할 수밖에 없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경찰서의 열악한 업무 환경이 개선되지 않는 까닭은 예산 확보가 쉽지 않은 데다 건물 부지 확보에도 어려움이 많아서다. 경찰서 관계자는 “예산을 확보하더라도 경찰서를 지을 만한 부지를 찾는 것이 쉽지 않고 주민들의 부정적인 여론에 따라 무산되는 경우도 적지 않다”고 설명했다.

올해 전국 249개 경찰서 가운데 증축이나 재건축 예산을 신청해 놓은 경찰서는 모두 15곳이다. 하지만 예산은 한 해에 3곳 정도 증축할 수 있는 수준이다. 올해 국유재산관리기금 가운데 경찰서 증축 및 재건축을 위해 편성된 예산은 1610억원으로 전체 기금의 14.2%에 불과하다. 기획재정부 국유재산관리기금 담당자는 “노후한 경찰서들이 많다 보니 한정된 기금으로 예산을 배정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면서 “예산 확충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글 사진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2013-05-30 10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