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범죄 年2만건 넘어 21년새 4배

성범죄 年2만건 넘어 21년새 4배

입력 2013-06-21 00:00
업데이트 2013-06-2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통계청, 한국 사회지표 발표

연간 발생하는 성폭력 범죄가 2만건을 넘어서며 20여년 새 4배가 됐다. 성폭력에 대한 적극적인 신고와 처벌 등 인식 변화의 영향이 있긴 하지만 수치상으로 드러난 여성의 안전도는 외려 퇴보한 꼴이다.

통계청이 20일 발표한 ‘한국의 사회지표’에 따르면 2011년 성폭력 범죄 건수는 2만 2034건으로 집계됐다.

1990년에 5519건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21년간 4.0배가 됐다. 같은 기간 총 범죄 발생건수가 117만 5000건에서 190만 3000건으로 62.0% 늘어나고 강도는 4195건에서 4021건으로 감소한 것을 감안하면 유독 높은 증가율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성폭력 범죄 숫자가 늘어난 것은 성희롱, 성추행 등에 대한 인식이 강화되는 등 다른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2011년 절도 사건은 전년(26만 8007건)보다 1만 3554건 늘어난 28만 1561건이 발생해 최고치를 경신했다.

비만 인구의 비율은 19세 이상 인구 중 31.9%를 차지, 전년(31.4%)에 비해 0.5% 포인트 증가했다. 이는 여성 비만 인구의 증가 영향이 컸다.

여성 비만유병률(체질량지수 25 이상)은 2007년부터 2010년까지 26∼27%대를 오르내리다 2011년에는 전년보다 2.2% 포인트 상승한 28.6%로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반면 남성 비만유병률은 2010년 36.5%에서 2011년 35.2%로 1.3% 포인트 감소했다. 흡연율도 남성은 2010년 48.1%에서 2011년 46.8%로 1.3% 포인트 줄었지만 여성 흡연율은 같은 기간 6.1%에서 6.5%로 증가했다.

세종 이두걸 기자 douzirl@seoul.co.kr

2013-06-21 6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