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법원 재판 놓고 ‘아전인수격 주장’ 공세

여야, 법원 재판 놓고 ‘아전인수격 주장’ 공세

입력 2013-10-14 00:00
업데이트 2013-10-14 13: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여, 진보당 부정경선 무죄 판결 비판…야 ‘국정원 사건’ 엄정 처벌 촉구

14일 대법원에 대한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국정감사에서는 일선 법원의 재판 및 선고와 관련해 여당과 야당이 ‘아전인수격 주장’을 내놓으며 첨예하게 맞섰다.

여당은 최근 통합진보당 비례대표 경선 대리투표 사건에 연루된 인사들에 대해 법원이 무죄 선고한 것을 강력히 비판했다.

새누리당 이주영 의원은 “진보당의 당내경선과 관련해 법원이 마치 대리투표가 허용되는 듯이 무죄 판결을 내리면서 국민들을 충격에 빠뜨렸다”면서 “선거 질서를 어긴 사건에 대해 법원이 국민 눈높이에 맞는 상식적인 판결을 내렸는지 의문이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때에 따라서는 당비를 낸 사람에 대해서만 투표권을 주는 등 보통·평등선거 원칙은 변경할 수 있지만 대리투표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허용 규정과 서면위임장 등이 있어야 한다”면서 “법원이 일반원칙에 따라, 자연법과 관습법에 따라 판결을 해야 옳다”고 주장했다.

같은당 김도읍 의원은 “초등학교 반장선거에서 대리투표를 한다면 학생들이 납득하겠나”면서 “중앙선관위에서도 전자투표 도입을 검토했다가 대리투표 가능성 때문에 철회했는데 법관이라면 이정도 지식을 갖고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비례대표 후보는 순위에 따라 국회의원이 되기 때문에 국회의원을 뽑는 것과 가치가 비슷하다”면서 “다른 법원에서는 다 유죄판결 내린 것을 (이번에 무죄판결 내렸는데), 법이라는 것은 예측가능하고 국민 상식에 맞아야 한다”고 밝혔다.

여당과 달리 야당은 현재 진행 중인 ‘국가정보원 정치·대선 선거개입 의혹’ 공판과 관련한 공세를 펼쳤다.

민주당 박범계 의원은 “서울중앙지법에서 진행 중인 원세훈·김용판 재판의 증거물과 압수물, 증언 등을 종합하면 이 범죄는 조직의 경계를 넘나드는 범 조직적 대선 개입 사건”이라며 법원의 엄정한 처벌을 촉구했다.

박 의원은 “국정원의 서울청 담당 정보관과 서울청 수사계장이 5일 간 50여차례의 통화를 했다. 이와 관련해 국정원과 새누리당 대선 캠프, 서울지방경찰청이 조직 경계를 넘어 조직적으로 선거에 개입했다는 주장이 있다”면서 “(원세훈·김용판이) 개인범죄로 기소됐는데 조직범죄로 규정하고 선거법도 개정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같은당 서영교 의원은 “(국정원 사건은)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에 국정원이라는 정보기관이 불법 개입한 사건으로 법무부 장관과 청와대의 압력, 박근혜 캠프 관계자의 조직적 개입이 수사를 통해 밝혀진 만큼 강력한 법적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 의원은 “(검찰이) 원세훈·김용판 외에 나머지 사람을 모두 기소유예하자 법원이 이종명 국정원 3차장 등에 대한 재정신청을 받아들였다”면서 “법원이 제대로된 판결을 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여야 의원들이 잇따라 재판 결과와 현재 진행 중인 사건에 대해 언급하자 차한성 법원행정처장은 “모든 사건을 공정하게 처리해오고 있고 그럴 것이라고 생각한다”는 원론적인 답변을 내놓았다.

이날 법사위에서는 여야 의원들이 상대방 의원측 발언에 대해서 “법원에 압력을 가하고 있다”며 비난하는 모습도 연출됐다.

새누리당 권성동 의원은 “(야당의원들은) 국정원 댓글 사건과 관련해 기소 내용이 마치 팩트이자 유죄가 틀림없다고 주장하며 법원에 유죄선고 압력을 가하고 있다”면서 “법에 따라 국정감사에서는 수사나 재판에 관여해서는 안된다. 이는 적절한 국정감사가 아니다”고 비판했다.

반면 민주당 박범계 의원은 “새누리당 의원도 재판에 대해 언급했는데 ‘자기 눈의 들보’가 안보이면 어떡하나”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