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복, 추억은 간직하되 발전시켜야”

“한복, 추억은 간직하되 발전시켜야”

입력 2013-10-18 00:00
업데이트 2013-10-18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통 파괴’ 논란 속 한복의 날 패션쇼 서영희 예술감독

17일 ‘한복의 날’을 맞아 서울 중구 ‘문화역284’에서 열린 한복 패션쇼에서 모델들이 현대적 감각으로 다양하게 디자인된 한복을 입고 무대 위를 걷고 있다.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17일 ‘한복의 날’을 맞아 서울 중구 ‘문화역284’에서 열린 한복 패션쇼에서 모델들이 현대적 감각으로 다양하게 디자인된 한복을 입고 무대 위를 걷고 있다.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저도 무조건적인 한복의 대중화는 원치 않습니다. 입고 싶은 사람만 선택적으로 예쁘게 입어야지 모두 한복만 걸치고 살 순 없잖아요?”

이미지 확대
서영희 예술감독
서영희 예술감독
17일 ‘문화역서울284’(옛 서울역사)에서 열린 제17회 한복의 날 기념 ‘패션쇼’의 예술감독은 서영희 보그코리아 스타일리스트다. 전통미가 강조돼야 할 행사에선 파격적 시도라 할 수 있다.

행사 주최 측인 문화체육관광부 관계자는 “변형된 생활한복을 대중에 선보이는 자리로, 앞으로 전통과 관행에 얽매이지 않은 창의적 한복 디자인을 펼쳐 보이겠다”고 밝혔다. 문체부는 한복진흥센터라는 전담 기구를 만들어 향후 최소 3년간 서 감독에게 패션쇼의 기획을 맡길 계획이다.

서 감독도 “1991년부터 이어져온 대표적인 국내 패션쇼인 서울콜렉션의 경우 22년 역사를 거치면서 대한민국 기성복 디자인의 큰 발전을 가져왔다”면서 “한복도 매년 봄·가을마다 정기적으로 창의적 디자이너를 발굴해 패션쇼를 진행하면 노하우를 쌓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패션쇼에서 서 감독은 한복총연합회와 한복계 원로들로부터 추천받은 16명의 디자이너들 가운데 전국 곳곳을 돌며 가려 뽑은 디자이너 6명의 작품 48점을 선보였다. 유진룡 문체부 장관도 한복차림으로 등장해 눈길을 끌었다.

하지만 패션쇼는 안팎으로 논란을 불러왔다. 스타일리스트인 서 감독에게 행사를 맡겼을 때부터 오랜 시간 전통 방식을 고수해 온 대다수 한복디자이너들이 끊임없이 부정적 시선을 보내왔다. 서 감독은 “추억은 간직하되 디자인은 발전시켜야 한다”며 “한복의 변형을 이끌고 싶지만 학회나 전통 디자이너들의 눈치를 보다 포기하는 이들이 의외로 많다는 이야기도 들었다”고 말했다.

“전통 한복은 격식이 엄격한 예복의 성격이 강한 반면 시중에 나온 개량한복은 머슴옷처럼 보여 극과 극이죠. 전통의 눈치를 보지 않고 대중적이면서도 예쁜 한복 디자인이 많이 나왔으면 합니다.”

서 감독은 “이번 패션쇼에 나온 작품들은 전통적 관점에서 어르신들의 눈으로는 이해되지 않는 것들도 있다”면서 “서양 기성복으로 프랑스나 이탈리아 디자인의 벽을 넘긴 힘들어도 한복 디자인으로는 얼마든지 가능하다”고 자신했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3-10-18 29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