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표로 지하철 타는 ‘얌체 성인’ 급증

어린이 표로 지하철 타는 ‘얌체 성인’ 급증

입력 2013-10-24 00:00
업데이트 2013-10-24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적발 건수 1년새 2.2배로… 불황·옅어진 준법의식 요인

지난 19일 오후 7시 30분쯤 국철 중앙선 원덕역(경기 양평군)에서 역무원과 20대 남성 간에 요금 승강이가 벌어졌다. 역무원은 성인이 어린이표를 끊어 이용하는 것은 부정 승차이니 다음부터는 그러지 말라고 요구했고, 20대 청년은 전혀 모르는 일이라고 잡아뗐다.

이미지 확대
현재 성인권은 지하철 개찰구에 대면 한 차례 ‘삐’하는 신호음이 나지만 어린이권을 대면 ‘어린이입니다’ 하는 음성 신호와 함께 초록색 불빛이 깜빡인다. 하지만 신호음의 음량이 작고 단속 요원 1명이 모든 개찰구를 감시하기에는 역부족이다.

어린이 승차권을 끊어 지하철 등 대중 교통을 이용하는 성인 얌체족이 늘고 있다. 어린이권의 기본 요금(서울 지하철 기준)은 성인 요금(1150원)의 절반이 안 되는 500원이다. 경기 불황 탓에 형편이 팍팍해진 까닭도 있지만 부정승차에 별다른 죄책감을 느끼지 않는 시민 의식도 되돌아봐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3일 서울메트로에 따르면 지하철에서 부정 승차하려다가 적발된 건수(1~4호선 기준)는 2011년 6216건에서 지난해 1만 3492건으로 2.2배 늘었다. 또 올해(1~7월)는 1만 3072건이 적발돼 이미 전년 수준에 육박했다.

올해 하루 평균 62명이 부정한 방법으로 지하철을 타려다가 걸렸다는 얘기다. 부정 승차자에게서 거둬들인 부가금(승차권 가격의 31배)도 2011년 1억 8900만원에서 올해(1~7월)는 4억 5000만원으로 급증했다. 부가금에는 어린이권 부정 사용 외에도 무임 승차, 노약자·장애인 우대권 부정 사용 등이 포함됐다.

현장 역무원들은 “무임 승차가 가장 흔한 부정승차 유형이지만 요즘은 어린이·청소년권으로 지하철을 타려다가 붙잡히는 어른이 눈에 띄게 늘었다”고 씁쓸해했다.

어린이 승차권은 다른 할인·우대권과 달리 승차권 자동판매기에서 신원 확인 없이 구입이 가능해 얌체족의 표적이 된다. 등·하굣길에 어린이권을 20차례 이상 끊어 사용했다는 대학생 임모(25)씨는 “다른 우대권의 부정 이용과 비교해 덜 알려진 수법이어서 그런지 지금껏 한 번도 걸리지 않았다”고 귀띔했다. 일각에서는 일본처럼 어린이권을 이용할 때 병아리 소리가 나게 하는 등 더욱 확실한 식별 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서울지역 역무원은 “오후 2~4시와 오후 9시 이후에 부정 승차객이 많다”고 밝혔다. 출퇴근 시간에는 지하철역 관계자가 집중 단속을 벌이는 데다 통근자들은 승차권 구입에 부담을 느끼지 않아 되레 부정 승차객 수가 적다는 설명이다. 반면 감시가 허술하고 유동 인구가 적은 오후 시간대에 부정 승차객이 몰린다. 서울시청역 관계자는 “부정 승차 단속에 걸리는 시민은 초범보다 상습범이 많다”고 말했다.

특히 주머니 사정이 넉넉하지 못한 외국인 근로자가 밀집한 서울 신림역과 대림역, 창동역 등에서 부정승차가 많다. 신림역에서 올해 적발된 부정승차 건수(1~7월)는 1408건으로 서울의 1~4호선 역사 가운데 가장 많았다.

유대근 기자 dynamic@seoul.co.kr

2013-10-24 8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