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에 안 보이는 ‘유해물질’ 시중에 버젓이…] 기형유발 혈액 유통

[눈에 안 보이는 ‘유해물질’ 시중에 버젓이…] 기형유발 혈액 유통

입력 2013-10-29 00:00
업데이트 2013-10-29 00: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금지약물 복용자 헌혈… 4년간 1436건 출고

임신부에게 수혈하면 태아 기형을 일으킬 수도 있는 헌혈 금지약물 복용 헌혈자한테서 채혈한 혈액이 시중에 버젓이 유통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신의진 새누리당 의원은 2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대한적십자사로부터 제출받은 ‘헌혈 금지약물 복용자 채혈 및 혈액 출고 현황’이라는 자료를 근거로 “최근 4년간(2010년~2013년 8월) 헌혈 금지약물 복용자한테서 1373건 채혈했고, 이 중 수혈용으로 출고된 건수도 1436건이나 됐다”고 말했다.

출고 건수는 2011년 370건, 2012년 487건이었고, 올해도 8월 말까지 202건이나 됐다. 헌혈 금지약물은 수혈을 통해 임신부에게 전해지면 태아의 기형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어 적십자사는 이 약물들을 복용한 사람은 일정기간(여드름 치료제 1개월, 전립선비대증치료제 1~6개월, 건선치료제 3년) 헌혈하지 못하게 하고 있다.

신 의원은 “문제는 헌혈 시 문진에서 금지약물 복용자들을 제대로 걸러내지 못한다는 점”이라면서 “문진의 실효성을 위해 헌혈기록카드를 보완해야 하는데도 2010년 이후 헌혈기록카드 관련 내용을 보완하지 않았다”고 적십자사를 비판했다.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2013-10-29 8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