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양송전탑반대’마을 한전보상안 합의 유·무효 논란

‘밀양송전탑반대’마을 한전보상안 합의 유·무효 논란

입력 2013-11-01 00:00
업데이트 2013-11-01 09: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남 밀양지역 765㎸ 송전탑 건설에 반대해 공사저지 투쟁을 해온 밀양시 단장면 동화전마을의 한전 보상안 합의를 놓고 유·무효 논란이 일고 있다.

1일 한국전력공사에 따르면 동화전마을은 지난달에 주민의 절반 이상이 보상안에 서명해 합의했다.

동화전마을 주민 대표는 지난달 24일 주민들이 서명한 합의서를 제출했다고 한전은 설명했다.

그때 동화전마을의 66가구가 서명했다고 마을 이장 양모(65)씨는 전했다.

이 마을에 주민등록을 둔 110가구, 실제 거주하는 90여 가구의 절반을 넘은 수준이다.

마을의 반대 대책위원회도 지난달 20일 주민 회의를 거쳐 해산했다고 덧붙였다.

양씨는 “반대 집회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자꾸 줄어드는 등 송전탑을 막기에 역부족인 상황에서 반대 활동으로 말미암은 주민 희생을 막고자 보상안에 합의했으며, 앞으로 마을 단위의 반대 투쟁은 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한전 측은 동화전마을의 합의를 계기로 송전탑 반대 투쟁의 열기가 다소 수그러들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반대 대책위는 동화전마을의 합의는 무효라고 정면으로 반박했다.

주민 전체의 의사가 아닌데다 서명한 사람 대다수도 내용이 무엇인지 잘 모른 채 서명했기 때문이라고 무효의 근거를 들었다.

심지어 일부 주민은 서명이 지난 18일 송전탑 건설 현장에서 구속된 주민의 석방을 탄원하려는 것인 줄 알고 있었다는 것이다.

오히려 전체의 99가구 가운데 87가구는 계속 투쟁하겠다는 뜻을 담은 회람문에 서명했다고 밝혔다.

따라서 동화전마을의 송전탑 반대 투쟁 열기는 더 뜨거워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동화전마을의 송전탑 반대 대책위원장을 맡은 김모(42)씨는 “위원장도 없는 상태에서 이장이 개인 자격으로 한 것이어서 유효하다고 볼 수 없으며 마을회관의 주민 회의에서도 합의한 바가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아직도 주민 다수가 송전탑 건설에 반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전과 반대 대책위의 상반된 주장 속에 한전이 지속적으로 반대 마을 주민들과 접촉, 합의를 추진하고 있어 송전탑을 둘러싼 갈등 사태가 어떻게 전개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