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내 ‘유골 50여구’ 미스터리

서울대병원 내 ‘유골 50여구’ 미스터리

입력 2013-11-07 00:00
업데이트 2013-11-07 00: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공사현장서 뼛조각 다수 발견…일제때 해부 뒤 매장 가능성

서울대병원 내 건물 신축공사 현장에서 50여구의 유골이 발견됐다.

6일 서울 혜화경찰서에 따르면 지난달 18일부터 이날까지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병원 내 의대 교육연구관 신축공사 현장에서 두개골과 뼛조각 등이 다수 발견됐다. 경찰 관계자는 “뼛조각이 잘게 부숴진 채 흩어져 있어 정확한 숫자 파악은 어렵지만 50여구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경찰과 서울대 의대 관계자 등은 이번에 발견된 유골이 일제시대 때 묻힌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2008년 11월 연건동 국제협력단 건물철거 현장에서도 유골 28구가 발견됐는데, 당시 국과수는 이들이 숨진 뒤 의학부에서 해부용으로 사용됐을 것으로 잠정 결론을 내렸다.

서울대 의대 해부학교실 관계자는 “한 장소에 집단적으로 매장하는 일은 일제 때나 가능하다”면서 “현대 해부학 실습 과정에서는 실습 전에 시신에 정중하게 제를 올리고 실습이 끝난 시신을 화장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장엔 과거 해부의학과 관련 건물이 있었지만 땅 속에서 발견됐다면 수십년 전 그 건물들이 없었을 때 묻혔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장에 출동한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은 “전쟁으로 사망한 군인 유골일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 관계자는 “뼛조각이 나올 때마다 회수해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보내 유전자 감식을 의뢰하고 있다”면서 “국과수와 긴밀히 협력해 정확한 신원과 사망 시기 등을 밝힐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민석 기자 shiho@seoul.co.kr

2013-11-07 8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