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곳곳 학교비정규직 파업 예고…급식차질 우려

전국 곳곳 학교비정규직 파업 예고…급식차질 우려

입력 2013-11-13 00:00
업데이트 2013-11-13 17: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4∼15일 진행, 일부 학교 대체급식 등 대책 마련

급식조리원와 통학버스 운전원 등으로 구성된 각급 학교비정규직연대회가 처우 개선 등을 요구하며 14∼15일 경고파업을 하기로 해 학교 급식 차질 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교육당국 및 전국 각 학교는 급식 차질 등에 대한 대책 마련에 나섰으나 정확한 파업 참가 규모를 파악하는데 어려움을 겪어 일부 학교에서는 큰 혼란도 예상된다.

◇경기·충북·전북 등 경고파업 예고 = 학교비정규직연대 소속 3개 노조 가운데 하나인 공공운수노조 전국회계직연합(전회련) 학교비정규직본부는 14일과 15일 경기지역에서 700여개 학교 2천여명(13일 오후 2시 기준)의 노조원이 참여한 가운데 집중파업을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충북지역에서는 14일 지부 임원 등을 중심으로 부분 파업을 한 뒤 15일 도내 100여개교 노조원 600여명과 다른 시·도 노조원 1천여명이 파업에 들어간다.

전북 역시 15일 70개 학교 500여명이 참가해 파업에 나선다고 예고했다.

이밖에 대전과 울산 학교비정규직 연대회의도 15일 파업을 할 예정이며 대구 노조원들은 이르면 이달 말, 늦어도 다음달 초 총파업을 하겠다고 밝혔다.

◇교육청·학교 대책 마련 = 경기도교육청은 일선 학교에 보낸 공문을 통해 ‘직종별 학교비정규직 파업 대책’ 안내 지침을 시달하고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하지 않는 범위에서 대책을 세우도록 지시했다.

충북교육청도 파업 참가자가 많아 급식이 이뤄지지 않으면 도시락을 나눠주되 이마저 여의치 않으면 빵이나 우유를 제공하도록 했다.

이처럼 각 학교는 대체급식을 준비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경기도 수원 A초등학교는 조리종사자 9명이 14∼15일 파업에 참여하겠다고 알려와 당일 학생 점심급식을 빵과 우유 등으로 대체하기로 했다.

비정규직 조리종사자가 10명인 수원 B초등학교 교직원은 14일 오전 평소보다 1시간가량 일찍 출근해 급식 중단 등에 대비하기로 했다.

그러나 학교가 노조원을 대상으로 파업 참가 여부를 확인하는 행위 자체가 부당노동행위로 간주될 수 있어 노조원이 직접 알려주지 않는 일부 학교에서는 참가 규모를 몰라 난감해 하고 있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파업규모를 미리 파악할 수 없어서 당일 아침에야 (파업을) 알게 되는 학교도 생길 수 있어 혼란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지난해 11월 9일 전국 학교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파업 당시 전국적으로 1천217개 학교에서 급식이 중단돼 단축수업을 하거나 학생들에게 도시락을 챙겨오도록 했다. 일부 학교는 빵·우유 등을 대신 제공하기도 했다.

◇비정규직 근로자, 처우 개선 요구

학교비정규직 근로자들은 호봉제 도입, 차별적 수당체계 개선, 고용안정, 교육감 직접고용과 교육공무직제 도입 등을 요구하고 있다.

전회련 학교비정규직본부, 전국여성노조, 전국학비노조 등 민주노총 산하 3개 비정규직 노조 연합체인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는 지난달 쟁위행위 찬반투표에서 재적인원 4만3천691명 중 82.9%(3만6천215명)가 투표해 93.2%(3만716명)가 파업에 찬성했다.

이들은 지난 11일 서울 중구 정동 민주노총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충북과 경기 및 전북에서 14∼15일 처우개선을 위한 경고파업을 하겠다고 밝혔다.

(김광호 정찬욱 윤우용 김선형 허광무)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