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국미사 논란…박창신 신부는 누구

시국미사 논란…박창신 신부는 누구

입력 2013-11-25 00:00
업데이트 2013-11-2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 22일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을 옹호하는 듯한 발언을 하면서 박근혜 대통령의 사퇴를 요구한 천주교 전주교구 박창신 원로신부는 지역 천주교계의 원로다.

신학대를 나와 군 제대 후 1973년 사제 서품을 받은 박 신부는 39년간 익산, 정읍, 전주 성당 등에서 사제로 부역하다 2012년 8월 은퇴했다.

전북지역에서는 가난한 이들과 함께하고 부당한 권력에 맞서면서 문정현·규현 형제 신부와 함께 대표적인 ‘강성 신부’로 꼽힌다.

특히 광주민중항쟁을 신자들에게 알리던 박 신부는 1980년 6월 25일 괴한들로부터 테러를 당해 하반신이 마비되기도 했다.

당시 익산 여산 성당 주임 신부있던 그는 가톨릭 전주교구사제단이 발표한 ‘전두환 광주살육작전’이라는 유인물을 신자들에게 나눠주다 괴한들의 습격을 받았다.

사제관에서 신자들과 이야기를 나누던 박 신부가 초인종 소리에 현관으로 내려가자 괴한 여러 명이 칼과 쇠파프이를 휘둘렀다.

‘영원한 미제 사건’으로 끝난 당시의 테러로 그는 지금도 한쪽 다리를 절고 있다.

역대 정권과의 악연은 여기서 끝나지 않았다.

1995년 민주주의민족통일전북연합의 공동의장을 맡았던 박 신부는 도내 대학생들이 이른바 ‘자주대오’ 사건으로 구속되자 이들의 석방을 촉구했다.

박 신부는 당시 국군 기무사와 전북경찰청의 잇단 대학생 구속을 전북지역 민족민주운동 세력에 대한 탄압행위로 간주했다.

또 1997년 국회에서 노동법이 개정되자 ‘노동법·안기부법 개악철회와 민주수호를 위한 전북대책위’ 상임대표를 맡았던 박 신부는 “노동자들의 삶의 질과 국제노동기구의 기준에 맞도록 노동법을 재개정하라”고 촉구하기도 했다.

박 신부는 평소 강론에서 “선을 행하도록 명령받은 사제들로서는 피할 수 없는 사명이 있다”며 자신의 선택과 행동에 떳떳했다.

이번 시국 미사 발언에 대해서도 “어떤 비판에도 박근혜 대통령 퇴진 운동을 하겠다”면서 “이번에 크게 국민이 일을 해야 한다”며 자신의 뜻을 굽히지 않았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