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2.0 이상 지진 93회…계기관측 이후 최다

작년 2.0 이상 지진 93회…계기관측 이후 최다

입력 2014-01-06 00:00
업데이트 2014-01-06 11: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기상청은 작년 한 해 동안 규모 2.0 이상 지진이 93회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6일 밝혔다.

이는 계기 관측을 시작한 1978년 이후 가장 많은 것이며, 디지털 방식의 지진 관측을 한 1999년부터 2012년까지의 연평균(44.5회)보다 배 이상 많다.

특히 규모 3.0 이상 지진은 17회, 사람이 느끼는 ‘유감 지진’은 15회로 예년 평균치의 배 수준이었다.

지역별로 서해에서 52회, 동해에서 15회, 북한 지역에서 7회 등 순으로 지진이 빈발했다.

특히 인천 백령도 해역과 충남 보령, 전남 흑산도 해에서 지진이 잇달아 발생했다.

기상청은 “지진 발생 양상을 볼 때 연속 지진이 대규모 지진의 전조로 단정하기는 어렵다”면서도 “한반도 지진 활동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종합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미국지질조사소(USGS)가 발표한 작년 세계 지진(규모 5.0 이상) 발생 횟수는 총 1천542회로, 연평균(1978∼2012년, 1천639회)과 비슷했다.

작년 국내에서 발생한 가장 큰 규모의 지진은 4월 21일 흑산도 해역과 5월 18일 백령도 해역에서 각각 발생한 규모 4.9 지진으로 계기 관측 이후 6번째로 큰 규모였다.

흑산도에서 지진이 발생했을 때 흑산도에 있는 건물과 창문이 흔들렸고 경남 진주에서도 약한 진동이 감지됐다.

백령도 지진 때는 서울과 경기 지역에서도 일부 주민들이 약한 진동을 느낄 수 있었다.

내륙에서 발생한 가장 큰 지진은 2월 5일 경남 거창군에서 발생한 규모 3.5 지진이었다. 이 지진으로 대구와 거창 지역에서 건물이 흔들렸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