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춥고 지쳤어요”…방역·살처분 인력 ‘파김치’

“춥고 지쳤어요”…방역·살처분 인력 ‘파김치’

입력 2014-01-22 00:00
업데이트 2014-01-22 09: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끼니 대충 때우고 새우잠…”살처분 동원땐 녹초”

전북 서남부의 조류인플루엔자(AI) 차단방역 총력전에 투입된 방역요원들의 피로도가 역력하다.

공무원과 군인이 중심이 된 방역요원들은 AI 방역현장의 강추위 속에 시간이 가면서 피로가 누적돼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

22일 전북도에 따르면 AI가 발생한 고창과 부안, 정읍에 공무원과 군인, 경찰 등 이날 하루에만 1천700여명이 투입되는 등 지난 17일부터 5천840여명이 동원됐다.

오리 도살 처분에는 대부분 남자 직원들이 투입된다.

특히 도살 처분 현장에 한번 투입되면 오리 수백마리를 처리하고 바이러스를 옮길 우려 때문에 사실상 2∼3일간 감금 상태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외부에서 넣어주는 김밥과 빵 등으로 겨우 식사를 해결하고 잠도 설치기 일쑤다.

매몰 현장의 고통도 그렇지만 녹초가 돼 나와도 이젠 밀린 행정업무에 매달려야 한다. 도살 처분 현장은 이젠 모두가 꺼리는 곳이 돼버렸다.

한 직원은 “도살 처분을 마치고 녹초가 된 상태로 나와도 공문 작성 등 일반 행정업무를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너무 힘들다”고 말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최근 기온마저 급격히 떨어지면서 피로에 지친 지원 인력들을 더욱 괴롭히고 있다.

대부분의 통제소에 난로가 없어 차량에서 히터를 틀어 놓고 있는가 하면 손 난로에 의존하는 바람에 감기에 걸린 공무원들이 속출하고 있다.

특히 방역요원들은 영하의 날씨로 소독약이 얼어붙는 바람에 염화칼슘을 다시 뿌려야 하는 등 업무가 가중되고 있다. 이렇듯 피로가 쌓이면서 직원들은 신경까지 예민해졌다.

방역 현장뿐만 아니라 교대하기도 어려운 상황실 직원들도 힘들기는 마찬가지다.

밤새 걸려오는 전화 문의에 현장 파악과 업무보고 준비까지 화장실 갈 시간도 없다.

한 상황실 직원은 “교대인력이 없어 집에 가지도 못한 채 도청 화장실에서 세수하고 새우잠을 잔다”면서 “살짝 눈을 감으면 전화벨 소리 환청마저 들린다”고 고통을 호소했다.

현장 방역요원들은 이날도 농가 21곳에서 오리 27만여 마리를 살처분하는 등 기약없는 ‘방역 전쟁’에 전력을 쏟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