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서울시내 청소년수련관 이용료 25% 인상

내년부터 서울시내 청소년수련관 이용료 25% 인상

입력 2014-02-13 00:00
업데이트 2014-02-13 07: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5년 만에 인상’상담부터 문화활동까지’ 원스톱 종합센터로 육성

내년부터 서울시내 청소년수련관의 시설 이용료와 강습료가 최대 25% 인상될 전망이다. 기존 청소년 요금보다 30% 많은 성인요금은 더 오를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는 이러한 내용의 ‘청소년 시설 설치 및 운영 조례’를 상반기에 개정해 내년 1월 이후 시행할 계획이라고 12일 밝혔다.

시는 2000년 이후 올해까지 14년째 동결한 수련관 사용료를 현실화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시는 수영장 1회 이용료는 2천원에서 2천500원, 탁구장은 1천300원에서 1천600원, 당구장은 3천600원에서 4천500원까지 올리는 걸 검토 중이다.

시는 요금을 올리는 대신 수련관을 종합사회복지관처럼 청소년 상담부터 보호, 복지, 문화활동까지 통합 지원할 수 있는 시설로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시에 따르면 2015년 8월까지 강북구 수유동에 280명이 숙박하며 수련활동을 할 수 있는 강북청소년수련원이 조성된다.

수련관별로는 청소년 휴(休)카페와 성(性)문화센터를 확충하고 체육활동을 위해 권역별로 1개의 수영장을 운영한다.

반면 기능이 중복돼 유명무실한 청소년 문화의집은 폐쇄하고 3년마다 각 수련관에 대해 경영개선 컨설팅을 추진한다. 운영이 부실하거나 위법 행위를 한 시설은 경고, 시정명령, 보조금 지급 취소를 할 수 있는 조항도 마련한다.

청소년들에게 균등하게 이용 기회를 주기 위해 동아리방 이용은 동아리별 주 3회로 제한한다.

수련관마다 휴관일도 월 2회 이내에서 정할 수 있도록 한다. 현재는 공휴일과 선거일을 제외하면 모든 날 운영한다. 평일 오후 2시 이후와 주말, 공휴일에는 성인들도 대관 등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마을사랑방과 부모교실도 운영한다.

시는 이달부터 각 시설을 대상으로 컨설팅을 시행하고 4월께 조례 개정안을 서울시의회에 상정, 통과되는 대로 세부계획을 마련할 계획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