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 “공중보건의 의료사고 국가에 배상 책임”

대법 “공중보건의 의료사고 국가에 배상 책임”

입력 2014-09-03 00:00
업데이트 2014-09-03 07: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공중보건의는 공무원에 해당하므로 의료사고와 관련해 중대한 과실이 없었다면 국가가 피해에 대한 배상 책임을 져야 한다는 대법원 판결이 나왔다.

대법원 2부(주심 이상훈 대법관)는 공중보건의 출신 의사 서모(39)씨가 “유족들에게 지불한 손해배상금을 갚아달라”며 국가를 상대로 낸 구상금 청구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한 원심을 확정했다고 3일 밝혔다.

재판부는 “공무원이 직무수행 중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로 타인에게 손해를 입힌 경우 공무원 개인도 손해배상 책임을 지지만 가벼운 과실만 있을 경우에는 배상 책임을 지지 않는다”면서 “경과실이 있는 공무원이 피해자에게 직접 손해를 배상했다면 국가에 대해 구상권을 취득한다고 봄이 타당하다”고 전제했다.

재판부는 “공중보건의는 공무원으로, 서씨는 가벼운 과실로 타인에게 손해를 입혀 배상책임을 지지 않음에도 유족들에게 손해를 배상했다”면서 “국가에 대한 서씨의 구상권을 인정한 원심 판단은 법리를 오해하지 않았다”고 판시했다.

정형외과 전문의인 서씨는 충남 서천군 소재 한 병원에서 공중보건의로 근무하던 2005년 10월 고열과 복통으로 내원한 조모씨를 치료했다.

서씨는 조씨에 대한 검사와 처방을 한 뒤 상급 병원으로 옮겼으나 조씨는 얼마 지나지 않아 패혈증으로 사망했다.

유족들은 조씨의 패혈성 증후군이 의심됨에도 불구하고 서씨가 제대로 된 치료를 하지 않고 병원을 옮기는 시기도 놓쳐 결국 사망에 이르렀다며 손해배상 소송을 냈다.

2010년 11월 의료과실을 인정한 대법원 확정 판결에 따라 서씨는 유족에게 3억2천700만원을 물어줬다.

이에 서씨는 다시 국가를 상대로 구상금 청구 소송을 냈다.

1심은 서씨의 구상권을 인정하지 않아 원고 패소로 판결했으나 2심은 “서씨에게 중대한 과실이 있었다고 인정할 수 없는 만큼 국가의 채무를 변제한 서씨가 구상권을 갖는다”며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