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 못드는 가을밤…”왜애앵∼” 모기 극성

잠 못드는 가을밤…”왜애앵∼” 모기 극성

입력 2014-09-14 12:00
업데이트 2014-09-14 12: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아침저녁으로 서늘한 가을 바람이 솔솔 불고 있지만 모기들은 오히려 더 극성을 부리는 모양새다.

최근 서울 시내 곳곳에선 ‘가을 모기’에 시달리는 시민들이 창고에 넣어뒀던 모기향을 다시 꺼내거나 스프레이 등 모기 퇴치용품을 구입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마포구에 사는 직장인 최모(29·여)씨는 14일 “올여름 내내 없던 모기가 이제 와서 나오는 바람에 잠을 설치고 있다”고 불평을 털어놨다.

송파구의 주부 이모(34·여)씨도 “이달 초부터 아기가 자꾸 모기에 물려서 집안 곳곳에 전자 모기향을 설치했다”고 말했다.

실제 서울시가 올해부터 집계해 공포하는 ‘모기활동지수’를 보면 모기들은 이달 들어서도 활발한 활동을 보이고 있다.

모기활동지수는 시내 54곳의 유문등(모기를 유인하는 조명)과 구로·영등포구의 DMS(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일일 자동 모기계측시스템)의 측정값에 기온, 습도 등 변수를 반영해 0∼1천포인트로 산출된다.

6월 일평균 421.2포인트였던 모기활동지수는 7월 547.4포인트, 8월 564.5포인트로 상승세를 보였다.

이달 들어서는 12일까지 일평균 527.0포인트로 다소 주춤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

가을장마에 이은 늦더위 등의 영향으로 모기들이 계속 기승을 부리는 것으로 보인다.

낮은 덥고 아침저녁은 쌀쌀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집으로 들어오려는 모기가 많아진 것도 모기에 물리는 시민들이 늘어나는 원인 중 하나다.

신이현 국립보건연구원 질병매개곤충과 보건연구관은 “농촌과 달리 도심에서는 1년 내내 모기가 발생하기도 하지만 요즘 모기가 실내에서 자주 보이는 것은 일교차 때문일 수 있다”고 말했다.

여름에는 밤에도 온도가 높아 모기의 활동 시간이 분산되지만 가을에는 쌀쌀한 밤기온 때문에 모기들이 시민들의 활동이 많은 초저녁에 주로 활동한다는 것이 신 보건연구관의 설명이다.

그는 “요즘은 추운 바깥공기를 피해 집안으로 들어가는 모기가 많아지는 동시에 사람들은 방충망 관리를 소홀히 하는 등 모기에 대한 경계심이 무뎌질 시점”이라면서 “영하의 날씨가 나타나기 전까지는 지속적으로 모기가 나온다고 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