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공 앞둔 밀양 송전탑 ‘매수 의혹’ 후폭풍

준공 앞둔 밀양 송전탑 ‘매수 의혹’ 후폭풍

입력 2014-09-17 00:00
업데이트 2014-09-17 15: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전이 주민 반발 속에 강행한 경남 밀양 765㎸ 송전탑 공사가 마무리 수순에 접어들었지만 그 후폭풍이 거세다.

공사에 반대하는 주민들을 매수하려고 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경찰 수사가 시작되면서 한전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밀양 송전탑 반대 대책위원회는 한전이 송전탑 공사에 반대하는 주민에게 1천만원을 건네 매수하려고 한 의혹이 있다며 17일 조환익 한전 사장과 밀양특별대책본부 김모 차장을 밀양경찰서에 고발했다.

이날 오후 고발장을 접수한 경찰은 대책위가 제출한 자료를 검토한 뒤 한전 관계자 등을 불러 조사할 계획이다.

한전 측은 의혹을 전면 부인했지만 대책위와 한전 모두 1천만원의 존재에 대해서는 인정을 한 만큼 경찰 수사는 돈의 출처를 캐는 데 집중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전이 살포한 돈이라면 대책위 주장대로 주민 매수용일 공산이 크다.

이 경우 주민 반발을 뒤로하고 공사 속도를 낸 한전이 공사 과정에서도 비도덕적으로 반대 주민들을 입막음하려고 했다는 국민적 비판 여론에 부딪힐 것으로 보인다.

설령 이 돈이 한전 주장대로 시공사에서 나온 돈이라고 해도 당시 한전 직원이 돈의 존재와 행방을 인지하고 있었다고 진술한 이상 개별지원금을 빌미로 한 ‘뒷거래’를 한전이 사실상 묵인했다는 비판과 책임은 피하기 어렵다.

물론 한전 관여 하에 시공사가 돈을 건넸을 가능성도 배제하기 힘든 상황이다.

경찰은 “대책위가 제출한 자료를 검토하고 있다”며 “돈의 출처와 용도 등을 수사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2008년 8월 착공 이후 공사 중단과 재개를 11차례 반복하다가 지난해 10월 가까스로 공사를 재개한 한전은 앞서도 수차례 비정상적 금품 살포에 관여했다는 의혹에 휩싸였지만 이번처럼 구체적으로 의혹이 거론된 적은 없었다.

사업에 대한 논란과는 별개로 순조롭게 진행된 송전탑·송전선로 공사는 오는 11월 모두 끝날 예정인 가운데 한전은 공사 막바지에 경찰 수사가 시작되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한전의 한 관계자는 “수사가 시작됐는데 좋을 수만은 없는 입장 아니겠느냐”며 “경찰 수사에 최대한 협조하겠다”고 말을 아꼈다.

한편 한전은 주민 매수 의혹이 불거지자 “당시 이장이 공사 합의시 지원되는 개별지원금을 합의 전 선지급해달라고 한전에 요청했는데 한전은 이를 거절했다. 이같은 사정을 안 시공사에서 이장에게 돈을 빌려준 것”이라고 해명한 바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