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학교 90% 석면피해 의심…대책 시급”

“대전 학교 90% 석면피해 의심…대책 시급”

입력 2014-09-21 00:00
업데이트 2014-09-21 13: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전지역 학교 중 90%에 과거 건축자재로 사용한 석면이 남아 있어 피해 방지를 위한 대책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전환경운동연합은 21일 성명을 내고 “국회 환경노동위원장인 새정치민주연합 김영주 의원의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2012년 12월(교육부 육안조사) 기준 대전의 476개 학교 중 무려 90%인 428개의 학교가 석면(의심)학교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대전환경연합은 “석면은 세계보건기구(WHO)가 정한 1급 발암물질로, 한국에서는 2009년에 사용을 전면 금지했다”며 “그러나 과거 지붕재, 천장재 등 건축자재로 사용된 석면자재가 여전히 남아있고, 건축물의 노후화, 리모델링, 재건축 등의 과정에서 석면먼지가 호흡기에 노출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석면자재가 사용된 학교 천장에 에어컨, 선풍기, 빔 프로젝터 등의 시설물을 설치하면서 파손된 부위가 석면 먼지를 지속적으로 날려 학생과 교직원의 심각한 호흡기 질환이 우려된다”며 “실제 교실 내에서 채취한 먼지 시료에서도 석면이 검출됐는데, 이는 석면이 교실의 대기 중으로 날리고 있다는 증거”라고 설명했다.

이들은 “교육당국은 2000년께부터 학교 건물의 석면관리 실태를 등급별로 파악해 관리하는데, 석면 파손상태에 따른 위해정도에 따라 1등급(높음), 2등급(중간), 3등급(낮음)으로 구분한다”며 “하지만 3등급으로 분류된 학교의 실태조사 결과 석면 천장재 파손 등 실제로는 위험도가 높은 1등급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나 위험물질에 대한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것으로 파악된다”고 지적했다.

대전환경연합은 “전문기관에 의뢰해 학교 석면자재에 대해 면밀한 조사를 벌이고, 파손상태가 심한 학교는 비석면 자재로 전면 교체해야 한다”며 “개보수 공사를 방학 중에 실시해 학생과 교직원의 석면 노출을 최소화하고, 교육청, 학교, 학부모, 환경단체 등이 참여해 석면 안전점검 감독을 지속적으로 실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