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가 배부 전화번호부 광고, 효과 만점~”…영세업자 3만명 쌈짓돈 25억 챙겨

“주택가 배부 전화번호부 광고, 효과 만점~”…영세업자 3만명 쌈짓돈 25억 챙겨

입력 2014-09-30 00:00
업데이트 2014-09-30 01: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제작·전화상담 업체 10명 적발

전화번호부 광고를 미끼로 음식점, 미용실 등 전국의 영세 자영업자를 속여 25억원을 가로챈 3개 전화번호부 제작업체 일당이 검거됐다.

대전지방경찰청 수사과는 29일 A전화번호부 제작업체 대표 박모(48·여)씨를 사기 혐의로 구속하고 B 제작업체 대표 김모(53·여)씨와 3개 업체 전화상담원 등 10명을 같은 혐의로 입건했다.

박씨 등은 2003년부터 최근까지 자영업자에게 전화를 걸어 “전화번호부에 광고를 하면 2만~3만부씩 배포돼 효과가 크다”고 속인 뒤 광고 크기에 따라 5만∼30만원씩 모두 25억원을 가로챘다. 하지만 박씨 등은 광고에 응하겠다는 1회당 150명 안팎의 자영업자수만큼 전화번호부를 제작한 뒤 이들에게만 택배로 보냈다.

박씨 등에게 속아 광고비를 지급한 자영업자는 현재 확인된 수만 모두 3만 1000여명에 이른다. 박씨 등은 전화상담원 출신으로 10여년 전 KT에서 전화번호부 제작을 중단하면서 업체 설립이 손쉬워지자 원룸에 헤드셋 전화기, 전화음성자동녹음 컴퓨터 등을 갖춰놓은 뒤 전화상담원을 고용해 전국의 자영업자를 상대로 범행에 나섰다.

박씨 등은 대구, 부산, 광주 등 주택가에 배부된 정상적인 전화번호부를 수거한 뒤 그 업체에서 새로 전화번호부를 제작하는 것처럼 속였고, 계좌로 광고비를 안 보내면 광고 의뢰 녹취파일을 들려주면서 “민사소송을 걸겠다”고 협박했다. 이들은 대도시보다 중소도시가 지역이 좁고, 속이기 손쉬운 것으로 보고 범행지로 삼았다.

이들의 범행은 광고비가 소액인 데다 전화번호부 배포 여부 확인이 쉽지 않아 광고주인 자영업자들이 장기간 눈치 채지 못하고 지속됐으나 이곳에서 일하던 전화상담원이 경찰에 제보하면서 11년 만에 꼬리가 잡혔다.

대전 이천열 기자 sky@seoul.co.kr
2014-09-30 10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