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주운전 인명사고’ 10대가 최고…어려서부터 교육 필요해

‘음주운전 인명사고’ 10대가 최고…어려서부터 교육 필요해

입력 2019-01-19 10:44
업데이트 2019-01-19 1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체 운전면허 소지자 가운데 술을 마시고 차를 몰다 인명사고를 가장 많이 낸 연령대는 ‘10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도로교통공단에 따르면 2017년 기준 연령대별 음주운전 인명사고 발생 건수는 19세 이하가 283건(사망자 18명)으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20대가 4063건(사망자 118명), 30대는 4745건(사망자 84명)으로 집계됐다. 사고 건수로 보면 30대가 가장 많다.

그러나 운전면허 소지자 수 대비 음주운전 인명사고 발생 비율은 19세 이하가 0.093%로 전체 연령대에서 가장 높다. 그다음으로 20대가 0.083%, 30대는 0.07% 순이다.

실제로 10대들의 음주운전으로 인한 인명사고는 끊이질 않는다. 지난해 6월 새벽 경기 용인시 도로에서 A(17)군이 만취 상태로 오토바이를 몰다가 신호 위반 좌회전을 해 맞은편에서 직진하던 승용차를 들이받았다. 당시 A군의 혈중알코올농도는 면허 정지에 해당하는 0.091%로 측정됐다.

2017년 9월 전남 나주시에서는 B(19)군이 술을 마시고 할아버지의 승용차를 운전하다가 길을 걷던 노인(72)을 들이받아 숨지게 했다. 또 지난해 9월에는 C(19)군이 전북 전주시의 한 도로에서 면허도 없이 만취 상태로 차를 몰다 전신주를 들이받아 동승자를 다치게 했다.

전문가들은 지금보다 단속 빈도를 늘리고, 관련 교육을 강화해 어릴 때부터 음주운전에 대한 경각심을 키우는 게 중요하다고 지적한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