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안대교 충돌한 러시아 화물선 선장 음주 확인…도선사 없이 자력 출항

광안대교 충돌한 러시아 화물선 선장 음주 확인…도선사 없이 자력 출항

신진호 기자
신진호 기자
입력 2019-02-28 20:19
업데이트 2019-02-28 22: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광안대교와 충돌한 러시아 화물선
광안대교와 충돌한 러시아 화물선 28일 오후 부산 남구 용호동 해상에서 러시아 화물선 (씨그랜드·6000t)이 광안대교와 충돌해 대교 구조물이 일부 파손됐다. 현재까지 인명 피해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2019.2.28
독자 제공=뉴스1
광안대교와 충돌한 러시아 화물선은 도선사 도움 없이 자력으로 출항하다 사고를 낸 것으로 드러났다.

28일 부산항만공사에 따르면 부두에 처음 입충항하는 선박이나 입출항 경험이 있더라도 부두 구조가 복잡한 항만의 경우, 선장들은 미리 도선을 신청, 도선사에게 입출항을 맡긴다.

항만공사 관계자는 “사고를 낸 씨그랜드(5998t)호는 용호부두를 몇 차례 찾은 적이 있다”면서 “입출항 경험이 있으면 통상 자력 출항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용호만 부두 접안 능력은 최대 2만t까지 가능하다.

용호만 부두는 구조가 비교적 단순해 그 동안 5000t 안팎의 선박은 대부분 자력 입출항했다고 항만공사 측은 설명했다.

그러나 절대 방심할 수 없는 부두가 용호만 부두라는 게 항만업계의 전언이다.

부두에서 광안대교까지 직선거리가 짧게는 500m, 길어야 550m에 불과하다.

출항을 위해 후진할 때 조류가 연안으로 흐르거나 바람이 강할 경우 광안대교 교량과 부딪칠 수 있다는 것이다.

부산항만공사는 이번 사고를 계기로 용호부두 항만의 안전 체계를 다시 점검하고 대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러시아 화물선 씨그랜드호는 이날 오후 4시 23분쯤 용호부두를 출항하다 광안대교 10~11번 교각 사이 하판을 들이받는 사고를 냈다.

씨그랜드호는 광안대교를 들이받기 전 부산 남구 용호동에 정박돼 있던 다이아몬드베이 마이더스호 722호와 725호 등 2척과 바지선 일부를 들이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한 척 당 시가 35억원에 달하는 마이더스호는, 이 사고로 722호는 오른쪽 선미가 깨지고 파공(구멍)이 생겨 물이 차는 피해를 입었다. 또 725호는 선수(뱃머리) 오른쪽 측면 부분이 일부 파손됐다.

해경 관계자는 “사고 선박은 광안대교와 충돌하기 직전 용호동 선착장에 있던 유람선 등을 들이 받았다”며 “다리를 들이받은 것과 연관성(도주 의도 등)이 있는 지는 조사중이다”고 말했다.

이어 “선장을 상대로 음주여부를 측정해 본 결과 혈중알코올농도 0.086%로 측정됐다”며 “선장이 직접 선박을 운항했는지에 대해서는 조사 중이다”고 말했다.

사고를 낸 선박은 선박 통항에 지장이 없는 광안대교에서 0.5마일(약 800m) 떨어진 곳으로 옮겨져 정박(투묘) 중이다. 해경은 이날 오후 8시 해당 선박을 용호부두에 접안한 뒤 조사할 예정이다.

현재 통제된 광안대교 49호 진입부에서 MT 11번 교각까지 일부 구간은 부산시설관리공단에서 복구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시설관리공단 관계자는 “교각 하부 쪽이 일부 찢어져 복구 작업을 진행하면서 동시에 사고 규모에 대한 조사를 진행 중이다”고 말했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