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 성평등 체감점수 평균 50점…여성 44점 vs 남성 67점”

“명절 성평등 체감점수 평균 50점…여성 44점 vs 남성 67점”

강경민 기자
입력 2019-09-10 11:21
업데이트 2019-09-10 11: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시여성가족재단 시민 2천44명 조사…64%는 “성평등 사례 경험”

이미지 확대
서울 송파구 서울놀이마당에서 어린이, 주민, 외국인 대학생 등이 추석을 앞두고 송편을 빚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 송파구 서울놀이마당에서 어린이, 주민, 외국인 대학생 등이 추석을 앞두고 송편을 빚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성 평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지만, 명절 연휴 남녀 간 성 평등 체감도 차이는 여전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서울시여성가족재단이 발표한 ‘서울시 성평등 명절사전’에 따르면 재단이 올해 설 연휴 기간(2월 1∼11일) 시민 2천4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한 결과 성평등 명절 체감 점수는 평균 49.6점으로 집계됐다.

여성 평균은 44.05점에 불과했으나 남성 평균은 전체 평균을 크게 웃도는 67.13점을 기록해 남녀 간 체감도 차이가 큰 것으로 조사됐다.

개인마다 체감도 차이도 커 0점을 준 사람은 129명이었고, 100점을 준 사람은 80명이었다.

그러나 변화의 조짐도 감지됐다.

응답자의 63.5%(1천298명)는 명절에 성 평등 사례를 경험했다고 답했다.

명절 음식 준비·운전·집안일 나누기가 867명(66.8%)으로 가장 많았고, 시가·처가 방문 순서 평등하게 하기(297명, 22.9%)가 뒤를 이었다.

이밖에 외식하기, 남녀같이 절하기, 아들딸 구별 없이 세뱃돈 똑같이 주기 등이 성 평등 경험 사례로 꼽혔다.

응답자들은 ‘서방님, 도련님, 아가씨 등의 호칭을 어떻게 바꿔보고 싶느냐’는 질문에 ‘이름

’(∼씨, 님)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름으로 부르는 것 외에 동생, 삼촌, 이모 등으로 부르자는 의견도 있었다.

설문 참가자 중 여성은 76%, 남성은 24%였다. 기혼자는 63%, 비혼자는 37%였다.

재단은 이번 추석에도 성 평등 체감 점수와 사례에 관한 시민 의견조사를 진행한다.

조사는 11∼18일 재단 홈페이지(http://www.seoulwomen.or.kr)에서 진행되며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강경희 서울시여성가족재단 대표이사는 “시민들의 의견을 직접 들어보니 명절 풍속도가 성 평등하게 바뀌고 있는 것을 체감할 수 있었다”며 “고정관념에 따라 특정 성에 짐을 지우는 것들을 개선해 나간다면 모두가 더 행복한 명절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