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폭탄’ 퍼부은 태풍 ‘미탁’ 사망·실종 14명, 이재민 749명

‘물폭탄’ 퍼부은 태풍 ‘미탁’ 사망·실종 14명, 이재민 749명

강주리 기자
강주리 기자
입력 2019-10-04 02:24
업데이트 2019-10-04 02: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부산 산사태 4명 매몰 등 인명·재산 피해 계속 확대

기록적 폭우에 침수·붕괴…농경지·주택 피해
차 덮친 돌
차 덮친 돌 3일 경북 울진군 매화면 금매2리에서 태풍 ‘미탁’ 영향으로 많은 비가 내려 마을 뒷산에서 흙과 돌이 무더기로 쏟아지면서 차를 덮쳤다. 2019.10.3
연합뉴스
‘물폭탄’을 퍼붓고 지나간 제18호 태풍 ‘미탁’으로 인해 14명이 사망·실종되고 749명의 이재민이 발생하는 등 갈수록 피해가 커지고 있다.

3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와 소방청에 따르면 이날 오후 10시30분까지 잠정 집계된 사망자는 모두 10명, 부상자는 8명이다. 그러나 부산 사하구에서 발생한 산사태로 매몰된 4명 가운데 2명은 숨지고 2명은 여전히 실종 상태에 있어 인명 피해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재민은 이날 새벽까지 30명에서 446가구 749명으로 늘어났다.

시설과 재산 피해도 규모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현재까지 민간시설 3267건, 공공시설 359건 등 3626건의 피해가 중대본에 보고됐다. 민간시설로는 주택 1237곳과 상가·공장 135곳, 농경지 1861곳 등이 침수·파손됐고 공공시설은 도로·교량 169곳, 상·하수도 24곳, 학교 3곳, 하천 17곳 등이 피해를 봤다.

지난 2일 오후 9시 40분 전남 해남군에 상륙해 밤사이 남부지방을 관통한 태풍 ‘미탁’은 곳곳에 기록적인 양의 비를 쏟아낸 뒤 이날 오전 동해로 빠져나갔다.

경북 울진에는 시간당 104.5㎜의 비가 내려 1971년 1월 이 지역 기상관측 시작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고 제주도 고산과 강릉 동해도 시간당 강수량 기록을 경신했다.

2000년 이후 태풍에 따른 인명피해(사망·실종 합계) 규모는 2002년 루사(246명), 2003년 매미(131명), 2007년 나리(16명), 2012년 볼라벤·덴빈(11명) 순이다.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