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 제한·단속카메라·중앙분리대… 교통사고 사망 3년 만에 40%로 ‘뚝’

50㎞ 제한·단속카메라·중앙분리대… 교통사고 사망 3년 만에 40%로 ‘뚝’

김동현 기자
김동현 기자
입력 2019-12-22 22:48
업데이트 2019-12-23 02: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19 안전운전 행복가정] <11>여수 ‘안전속도 5030’ 시행

이미지 확대
“사람들은 여수 명물이 밤바다라고 하는데 내 생각은 좀 달라부러요. 여수의 진짜 명물은 ‘안전속도 5030’이제. 교통사고로 죽을 사람을 얼매나 살렸는디.”(문용배 여수경찰서 교통관리계 순경)

전남 여수 교동사거리는 매년 보행자 교통사고로 4~5명의 사망자가 발생하던 곳이다. 지난해 여수시의 보행 중 교통사고 사망자가 20명임을 감안하면 4명 중 1명은 이곳에서 사고를 당해 세상을 떴다는 얘기다. 그런데 올해는 이 일대에서 아직 1건의 보행자 사망사고가 발생하지 않았다.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이미지 확대
22일 찾은 여수 교동사거리에는 제한속도 시속 50㎞를 알리는 교통표지판과 함께 단속카메라, 중앙분리대가 설치돼 있었다. 문 순경은 “이 3종세트가 보행 중 교통사고를 막은 것”이라면서 “이 중에서도 ‘안전속도 5030’이 일등 공신”이라고 말했다.

2015년만 해도 여수는 보행 중 교통사고 사망자가 26명으로 전국 1위(10만명당 보행자 사망사고 비율)를 기록했다. 김경헌 교통안전공단 교통공학 박사는 “여수는 도시와 농촌의 성격을 모두 가진 도농 복합도시여서 차량 운행량과 속도가 모두 높은 편인 반면 교통안전문화가 정착되지 않아 무단횡단을 하는 사람이 많아 이로 인한 사고가 많았다”고 설명했다. 보행 중 교통사고 사망률 1위라는 불명예를 얻게 되자 여수에는 비상이 걸렸다. 2016년 3월 여수시와 경찰청, 한국교통안전공단 등은 시내 주요 도로를 긴급 점검한 뒤 시속 50㎞로, 이면도로는 30㎞로 제한속도를 낮추는 ‘안전속도 5030’을 2017년부터 전격 시행하기로 했다. 대상은 여수의 주요 간선도로 29곳 121.5㎞였다.

안전을 위한 조치였지만 지역사회의 반응은 싸늘했다. 문 순경은 “시행 직후인 2017년과 지난해는 보행 중 사망자가 크게 줄지 않아 더 욕을 많이 먹었다”고 털어놨다. 실제 2016년 15명이었던 보행 중 교통사고 사망자가 2017년 20명, 지난해 20명으로 소폭 늘어나 정책을 추진한 사람들 사이에서도 ‘안전속도 5030’의 효과에 대한 회의가 나오기 시작했다.

그런데 딱 3년째가 되는 올해 여수시의 보행 중 교통사고 사망자수는 11월 기준 8명으로 지난해의 40% 수준으로 뚝 떨어졌다. 11월 기준 보행 중 교통사고 건수가 올해 305건으로 2017년(307건)과 지난해(315건)에 견줘 크게 줄지 않은 것에 비해 사망자수는 대폭 줄어든 것이다. 3주 이상 치료가 필요한 중상자도 116명으로 지난해 136명, 2017년 132명보다 10% 이상 감소했다. 반면 경상자는 185명으로 지난해(169명)와 2017년(161명)에 비해 소폭 증가했다. 김 박사는 “교통정책을 시행한 후 운전자들의 운전 습관에 반영되는 데 시간이 걸린다”면서 “3년간 지속적인 단속이 이뤄지면서 차량 속도가 줄었고, 그 결과 사망사고가 경상·중상으로 피해 정도가 낮아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안전속도 5030’의 효과가 나타나자 정부는 2021년 4월부터 이를 전국에 확대할 방침이다. 교통안전공단 관계자는 “교통사고로 인명 피해, 특히 사망자가 발생하면 운전자가 받을 처벌의 강도도 세진다”면서 “속도를 낮추는 게 보행자는 물론 운전자에게도 도움이 된다는 인식을 널리 확산시키겠다”고 강조했다.

글 사진 여수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

■공동기획:한국교통안전공단
2019-12-23 8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