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노인 실종 신고 지난해 1만 2479건 4년 새 38% 증가

치매 노인 실종 신고 지난해 1만 2479건 4년 새 38% 증가

박찬구 기자
입력 2020-10-04 17:12
업데이트 2020-10-04 17: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 국감 자료

발언하는 민주당 남인순 최고위원
발언하는 민주당 남인순 최고위원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최고위원이 1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0.8.14
연합뉴스
지난해 경찰에 접수된 치매노인 실종신고는 모두 1만 2479건으로 나타났다. 최근 4년 새 38% 가까이 늘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치매노인 실종 및 보호 실태’ 자료에 따르면 치매노인 실종신고는 2015년 9046건에서 2016년 9869건, 2017년 1만 308건, 2018년 1만 2131건, 2019년 1만2 479건으로 해마다 꾸준히 늘고 있다. 올 들어서는 8월까지 8413건에 이른다. 2015년부터 올해 8월까지 경찰에 접수된 실종신고 6만 2246건 가운데 대부분인 6만 2219건은 실종된 치매 노인을 발견했지만, 27건은 아직 실종 상태다.

복지부는 자료에서 치매 노인 실종을 예방하기 위해 감지기 대여, 어르신 인식표 발급, 치매 진단앱 서비스, 지문 사전등록제 등을 시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치매 환자와 보호자의 스마트폰을 연동해 실시간으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치매 체크 앱 배회 감지 서비스’는 2017년 서비스 시작 이후 14만여건의 누적 다운로드 건수를 기록하고 있다. 남 의원은 “우리나라는 인구 구조의 급속한 고령화 추세로 치매 환자가 65세 이상 어르신 10명 가운데 1명꼴로 높다”면서 “치매 환자 실종신고도 매년 증가하고 있어 정부와 지방자치체가 이를 예방하기 위한 캠페인과 홍보를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세종 박찬구 선임기자 ckpark@seoul.co.kr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