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마린파크에서 돌고래 또 폐사…10년간 5마리나 죽어

제주 마린파크에서 돌고래 또 폐사…10년간 5마리나 죽어

황경근 기자
입력 2020-10-07 16:36
업데이트 2020-10-07 16: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제주의 돌고래 체험관광시설에서 사육중이던 큰돌고래 안덕이(마린파크 홈페이지)
제주의 돌고래 체험관광시설에서 사육중이던 큰돌고래 안덕이(마린파크 홈페이지)
제주의 수족관형 돌고래 체험 관광시설인 마린파크에서 지난 8월말 또다시 돌고래 한 마리가 폐사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최근 10년간 이곳에서 죽어 나간 돌고래의 수는 무려 5마리에 달한다.

해영환경보호단체인 핫핑크돌핀스는 7일 성명을 통해 큰돌고래 ‘안덕이’의 폐사 사실을 알리고 마린파크 측의 부적절한 돌고래 사육 행태를 규탄했다.

마린파크는 211년 일본의 돌고래 학살지인 일본 와카야마현 다이지 마을로부터 암컷 큰돌고래 ‘안덕이’를 수입해왔다.

핫핑크돌핀스는 “2019년 4월 마린파크를 찾아 사육 중인 돌고래들의 활동 상태를 점검했을 때 4마리 돌고래들이 너무나 단조로운 환경에서 아무런 할 것도 없어 그저 수면 위에 둥둥 떠 있거나 무의미한 동작을 계속 반복하고 있었다”면서 마린파크 돌고래들의 폐사가 예견된 일이었다고 주장했다.

또 “고래류를 사육하는 시설이라면 적정한 사육환경 마련하고 다양한 활동 프로그램을 통해 폐사를 예방했어야 했다”며 마린파크 측이 ‘안덕이’의 폐사를 방치한 셈이라고 주장했다.

해양수산부도 지난 9월 10일 ‘마린파크 수족관 서식실태 점검 결과’를 통해 마린파크에 대해 ‘수질 관리 방법 보완’ ‘보유생물 검사 및 관리 부족’, ‘돌고래 정형행동 보임’, ‘행동 풍부화 및 메디컬 트레이닝 시급’ 등을 지적했다.

핫핑크돌핀스는 “마린파크처럼 제대로 돌고래를 사육하기가 불가능한 시설에 대해서는 영업정지나 폐쇄 등 보다 강력한 행정명령을 내려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올해 들어 폐사한 돌고래는 7월 한화 아쿠아플라넷 여수의 벨루가 ‘루이’, 같은 달 울산 고래생태체험관의 큰돌고래 ‘고장수’, 마린파크의 큰돌고래 ‘안덕이’까지 모두 3마리다.

제주 황경근 기자 kkhwang@seoul.co.kr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