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민 절반 “집값·양육부담에 결혼 않겠다”

경기도민 절반 “집값·양육부담에 결혼 않겠다”

김병철 기자
입력 2020-11-11 11:20
업데이트 2020-11-11 11: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결혼 긍정인식 3년 새 11%p↓...젊은 여성층 특히 낮아

결혼에 대한 인식 조사
결혼에 대한 인식 조사
경기도민의 절반 가량은 결혼을 하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비혼과 저출생의 원인으로는 높은 집값과 사교육비 등 경제적 부담을 꼽았다.

경기도는 지난달 16~18일 도민 2000명을 대상으로 ‘결혼, 자녀, 저출생’과 관련한 도민 인식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11일 발표했다.

‘결혼을 해야 하냐’는 물음에 52%가 ‘그렇다’고 답변했다. 지난 2017년 63%, 2019년 54%보다 낮아졌다.

전체 응답자 가운데 20~40대는 47%만이 결혼을 해야 한다고 답했다. 20~40대 여성 응답은 각각 32%, 40%, 40%로 더 낮았다.

‘자녀가 있어야 하냐’는 물음에는 65%가 “그렇다”고 답해 2017년(74%), 2019년(69%)에 비해 긍정 답변이 줄었다. 20~40대는 58%가 ‘그렇다’고 응답했으며, 이 가운데 20~40대 여성 응답은 각각 42%, 51%, 59%로 더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비혼율이 증가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집값, 전월세 등 과도한 주거비용 부담(31%)이 1순위로 지목됐다. 이는 지난해(25%)보다 6%p 증가한 결과로, 최근의 부동산가격 상승세가 반영된 것으로 도는 분석했다. 이어 출산·양육 부담(25%), 개인의 삶·여가 중시(18%) 등이 높았다.

우리 사회 저출생 문제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86%가 ‘심각하다’고 답했다.
비혼 증가 이유
비혼 증가 이유
저출생의 원인으로는 양육비·사교육비 등 경제적 부담(33%), 집값 등 과도한 주거비용(18%), 개인의 삶 중시(13%) 순으로 꼽았다.

남성은 과도한 주거비용(24%)을 여성(12%)보다 2배 높게, 여성은 개인의 삶 중시(16%)를 남성(10%)보다 높게 꼽았다.

가장 시급한 저출생 대책으로는 고용·주거 등 안정적 기반마련 지원(36%)이 꼽혔고, 다음으로 아동수당, 의료비, 교육비 등 경제적 지원(18%), 국공립 어린이집·유치원 확충, 돌봄서비스 확대(16%), 근로시간 단축, 육아휴직 등 아이 돌보는 시간 보장(15%) 순이었다.

이번 조사는 경기도가 ㈜리얼미터에 의뢰해 도민 2000명을 대상으로 지난 10월 16일부터 18일까지 자동응답조사 방식으로 실시했으며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2.2%p다.

김병철 기자 kbch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