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연구개발 위한 원전기술은 녹색분류체계에 포함시킬 수도”

“수출·연구개발 위한 원전기술은 녹색분류체계에 포함시킬 수도”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2-01-23 21:56
업데이트 2022-01-24 02: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정애 환경부 장관 인터뷰

이미지 확대
한정애 환경부 장관
한정애 환경부 장관
해외 수출과 연구개발(R&D)을 목적으로 한 원자력발전(원전) 기술은 ‘한국형 녹색분류체계’(K택소노미)에 포함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정애 환경부 장관은 최근 서울신문과 만나 “국내 신규 원전 건설이 아니라 원전 기술 경쟁력 확보와 수출 목적의 연구개발과 이를 위한 민간투자 유도를 위한 택소노미는 열어 놓는 것이 좋지 않나 생각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말 환경부에서 발표한 K택소노미에서 원자력이 빠진 배경을 설명하면서 나온 이야기다.

한 장관은 “단위 면적 밀도로 보면 한국의 원자력 발전 시설은 세계 최고 수준이라 더 짓는 것은 받아들이기 어렵다”며 “유럽연합(EU)은 원전을 택소노미 초안에 넣는데 왜 우리는 넣지 않느냐는 목소리가 있는데 유럽과 우리나라 상황을 1대1로 비교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해외 일부 국가에서는 원전 기술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외국에 수출할 수 있는 부분, 민간자본 투자를 위한 택소노미는 고민해 봐야 한다”면서 “이는 국내 원전 설치를 위한 택소노미가 아닌 수출을 위한 것”이라고 거듭 밝혔다. 이어 “지난해 결정한 택소노미 기준을 당장 바꿀 수는 없지만 올 한 해 동안 환경부에서는 이에 관해 적극적으로 논의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유용하 기자
2022-01-24 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